백과사전 상세 본문
유형 | 개념용어 |
---|---|
분야 | 과학/과학기술 |
요약 천구의 북극 가까이에 있으며 위치가 거의 변하지 않는 별.
내용
현재 북극성은 하늘의 북극에서 약 1°가량 떨어져 있지만, 지구의 세차운동 때문에 북극성의 위치는 조금씩 달라지고 수백 년 후에는 북극성이라는 이름에 어울리지 않게 하늘의 북극 위치에서 많이 떨어져 있게 될 것이다.
그러나 북극성은 하늘의 북극 가까이에 있어 예로부터 북쪽 방위를 찾는 길잡이 구실을 해왔다. 북극성이 속해 있는 별자리는 작은곰자리로, 이 별자리는 우리 나라의 3월에 북두칠성과 함께 하늘 높이 솟아오르게 된다.
예로부터 중국에서 북신(北辰)·북성(北星)·중극(中極) 등으로 불리던 북극성은 사계(四季)를 바로잡고 기후변화를 주관하는 신으로 섬겼다. 이 별은 태자(太子)·제성(帝星)·서자(庶子)·후궁(後宮)·천추(天樞)의 다섯 별과 함께 일직선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가장 중심이 되고 위대한 별이기 때문에 다른 별들의 옹위를 받는 것으로 여겼다.
우리 나라에서도 북극성이 인격신으로 나타나는 예를 볼 수 있는데, 동해안지방에 전승되는 무가(巫歌) 바리데기신화에서는 주인공 바리데기가 죽어서 북극성이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직접적으로 북극성을 신앙화한 의례 등은 찾아볼 수 없다.
지구의 자전운동 때문에 하늘의 북극을 중심으로 모든 항성(恒星)이 시계바늘과 반대방향으로 1일 주기 회전운동을 하는 것처럼 보인다. 항성일주운동의 중심점의 위치, 즉 북쪽 하늘의 지평선에서부터 북극의 높이를 북극고도(北極高度)라고 하였다. 예로부터 북극성이 관찰지점에서의 북극고도를 측정하는 기준점이 되었다.
이러한 북극고도는 그 지점의 위도(緯度)에 해당되며 오래 전부터 오늘날의 위도 대신 사용되었는데, 그 지방의 밤낮의 길이, 해의 출입시각을 계산하는 기초가 되며 물시계에서 밤 사이의 경각(更刻)을 정하는 데 필요한 자료이다.
우리 나라 북극고도의 측정에 대한 기록은 ≪원사 元史≫ 역지(曆志) 수시력(授時曆)에서부터 나타난다. 즉, “고려극고(高麗極高) 38도(度) ¼”로 기록되어 있다. 이때의 도수법으로는 원주(圓周)를 365° ¼로 한 것이기 때문에 서양의 360°법으로 환산하면 37°41′이 된다.
이것은 고려의 수도였던 송도(松都), 즉 개성의 위도 측정값으로 해석된다. ≪관상감일기 觀象監日記≫에서는 조선시대 세종 때 역관(曆官) 윤사웅(尹士雄)·최천구(崔天衢)·이무림(李茂林)을 각각 강화부(江華府)의 마니봉, 갑산부(甲山府)의 백두산, 제주목(濟州牧)의 한라산에 파견해서 그 곳의 북극고도를 측정했다고 하나 측정값이 전해지지는 않는다.
1713년(숙종 39) 계사(癸巳)에는 청사(淸使) 목극등(穆克登)이 5명의 사력(司曆)을 거느리고 와서 한양(漢陽, 지금의 서울)의 북극고도를 측정했다고 하는데, 실측자는 하국주(何國柱)로서 종가(鍾街)에서 상한대의(象限大儀)를 가지고 측정하여 37°39′15″의 값을 얻었다.
매각성(梅殼成)이 편찬한 ≪역상고성 曆象考成≫에 이 실측값이 기록되어 있다. 이외에도 한양에서 남쪽으로 약 1,000리 떨어진 해남현(海南縣)의 북극고도는 한양의 북극고도보다 2∼3° 낮고, 북쪽으로 거의 2,000리 떨어진 삼수부(三水府)는 한양보다 4∼5° 높다고 기록되어 있다.
1791년(정조 15) 신해(辛亥)에는 한양의 북극고도를 기준으로 하고 팔도여도(八道輿圖)를 써서 각 관찰영(觀察營)의 북극고도값을 얻었다. 그리고 관북(關北)은 40°57′, 관서(關西)는 39°33′, 해서(海西)는 38°18′, 관동(關東)은 37°06′, 호서(湖西)는 36°06′, 영남(嶺南)은 35°21′, 호남(湖南)은 35°15′으로 되어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국조역상고(國朝曆象考)』
- ・ 『증보문헌비고』
- ・ 『한국무속의 연구』(최길성, 아세아문화사, 1978)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북극성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