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유승민 (1982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승민
2012년 하계 올림픽 당시의 유승민
기본 정보
로마자 표기Ryu Seung-min
출생일1982년 8월 5일(1982-08-05)(42세)
출생지대한민국 경기도 강화군
177 cm
몸무게73 kg
스포츠
국가대한민국
그립일본식 펜 홀더
전형드라이브 전형
앞면 러버버터플라이 테너지05
라켓버터플라이 유승민 G-MAX
소속팀삼성생명 탁구단
은퇴2014년
메달 기록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의 선수
남자 탁구
올림픽
2004 아테네 단식
2012 런던 단체전
2008 베이징 단체전
세계 선수권 대회
2006 브레멘 단체전
2008 광저우 단체전
2001 오사카 단체전
2004 도하 단체전
2007 자그레브 단식
2010 모스크바 단체전
2012 도르트문트 단체전
아시안 게임
2002 부산 복식
2002 부산 단체전
2002 부산 혼합 복식
2006 도하 단체전
2006 도하 단식
아시아 선수권 대회
2005 제주 단체전
2003 방콕 단식
2005 제주 복식
아시아 주니어 선수권 대회
1997 파나지 단체전
1999 첸나이 단식
1999 첸나이 복식
1999 첸나이 단체전
1997 파나지 단식
유승민
한글 표기: 유승민
한자 표기: 柳承敏
개정 로마자 표기: Yu Seungmin
매큔-라이샤워 표기: Ryu Sŭngmin
예일 표기: Yu Sungmin
공식 로마자 표기: Ryu Seung-min
국제 음성 기호: [ju.sɯŋ.min]

유승민(柳承敏,[1] 1982년 8월 5일~)은 대한민국탁구 선수, 체육행정인이다. 탁구 선수 시절 대한민국 국가대표 선수로 활동했고 2004년 하계 올림픽 탁구 남자 단식 금메달을 획득했다.

현역 은퇴 후 탁구 지도자, 체육행정인으로 활동 중이며 대한민국 대표팀 코치, 국제 올림픽 위원회 선수위원, 대한탁구협회의 회장을 지냈다. 2025년에 대한체육회의 회장(2025.~2029.)으로 당선되었고 문화체육관광부 승인을 거쳐 2월 28일 공식 취임하였다.

어린 시절

[편집]

유승민은 1982년 경기도 강화군 교동면에서 유우형(1955년~)과 황감순(1957년~) 부부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인 유우형은 취미로 탁구를 즐겼으며 지인과 함께 인천에서 탁구장을 운영하기도 했다. 아버지의 영향으로 7세 때 탁구에 입문한 유승민은 인천주안국민학교로 진학하여 탁구부 입부를 희망했으나 어리다는 이유로 거절당했다. 이후 1991년 탁구부 입부를 허가한 인천도화국민학교로 전학을 갔으며 6학년 때인 1994년 부천오정국민학교로 다시 전학을 가 그 학교를 졸업했다.

1995년 내동중학교로 진학했으며 중학교 3학년 때 최연소 대한민국 탁구 국가대표로 발탁되었다.

선수 경력

[편집]

2004년 8월 아테네 올림픽 탁구 남자 단식 결승에서 당시 세계랭킹 4위었던 중국왕하오를 세트 스코어 4-2로 꺾고 1988년 서울 올림픽(유남규, 양영자, 현정화) 이후로 16년만에 금메달을 차지했다.[2] 그는 2020년 하계 올림픽에서 일본의 미즈타니 준이토 미마가 혼합 복식 금메달을 획득하기 전까지 마지막 올림픽 탁구 금메달을 획득한 중국 외의 국적자였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도 출전하였으나 단체전에서는 동메달에 머물렀고, 단식에서는 1회전(32강전)에서 홍콩고우라이작에게 세트 스코어 2-4로 패배하여 2연속 금메달 획득에는 실패하였다.

2012년 런던 올림픽 단체전에서는 결승에 올랐으나 중국에 0-3으로 패하며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2014년 6월에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 그 후 삼성생명 탁구단, 탁구 국가대표팀에서 코치를 맡았고, IOC 선수위원에 출마한 후에는 행정가로 나서고 있다.

2015년 유승민은 8월 13일 사격의 진종오, 역도의 장미란을 제치고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선수위원 대한민국 최종후보가 됐다. 이후 2016년 8월 19일 오전(이하 한국시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선수촌 내 프레스 룸에서 발표한 선수위원 투표 결과에서 총 5815표 중 1544표를 획득하고 1,603표를 얻은 펜싱 브리타 하이데만(독일)과 표차는 불과 59표차이로 후보자 23명 중 2위를 차지해 대한민국에서 문대성에 이어 2번째로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선수위원으로 선출됐다.

2019년 6월에는 대한탁구협회의 회장으로 선출됐다.

배구선수 고유민의 자살이 알려진 직후인 2020년 8월 4일에는 "포털 스포츠뉴스 댓글 서비스를 금지하는 법안을 만들어 달라"고 국회에 요청했다.

개인사

[편집]

종교개신교이다.

수상

[편집]

수훈

[편집]

학력

[편집]

약력

[편집]
  • 2000년: 제27회 시드니 올림픽 남자 탁구 국가대표
  • 2002년: 제14회 부산 아시안게임 남자 탁구 국가대표
  • 2004년: 제28회 아테네 올림픽 남자 탁구 국가대표
  • 2006년: 제15회 도하 아시안게임 남자 탁구 국가대표
  • 2007년 8월: 제18회 아시아 탁구선수권대회 남자 국가대표
  • 2008년: 제29회 베이징 올림픽 남자 탁구 국가대표
  • 삼성생명 탁구단
  • 2012년 7월: 제30회 런던 올림픽 남자 탁구 국가대표
  • 2012년 8월: TTF 립헬 옥센하우젠
  • 삼성생명 탁구단
  • 2014년 6월~2016년 12월: 삼성생명 탁구단 코치
  • 2014년 9월: 대한민국 탁구대표팀 코치
  • 2016년 8월~2024년 8월: 국제올림픽위원회 (IOC) 선수위원
  • 2017년 1월: 대한탁구협회 이사
  • 2018년 1월~2018년 3월: 2018년 동계 올림픽 평창선수촌장
  • 2018년 9월~: 경기대학교 석좌교수
  • 2019년 4월~: 보다나은미래를위한 반기문재단 이사
  • 2019년 6월~2024년 9월: 제21대 대한탁구협회 회장
  • 팀유승민 탁구클럽 단장
  • 서울대학교 국제농업기술대학원 특임교수
  • 2024 부산세계탁구선수권대회 조직위원회 공동 위원장
  • 2018평창기념재단 이사장
  • 2025년 2월~: 제42대 대한체육회 회장

각주

[편집]

외부 링크

[편집]
전임
이기흥
(직무대행)김오영
제42대 대한체육회 회장
2025년 2월 2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