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건호
보이기

![]() 朴建浩 | |
---|---|
작가 정보 | |
출생 | 1949년 2월 19일 대한민국 강원도 원주군 흥업면 사제리[1] |
사망 | 2007년 12월 9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58세)
언어 | 한국어 |
직업 | 작사가, 수필가, 음악평론가 |
학력 | 흥업초등학교 졸업 원주중학교 졸업 대성고등학교 졸업 |
경력 | 前 한국가요작가협회 회장 |
활동기간 | 1969년 ~ 2007년 |
장르 | 수필, 평론 |
수상 | 1982년 KBS 가요대상 작사상 1985년 아름다운 노래 대상 1985년 국무총리 표창 |
배우자 | 이금림 |
자녀 | 슬하 2남 |
박건호(朴建浩, 1949년 2월 19일 ~ 2007년 12월 9일)는 대한민국의 작사가, 수필가이다. 강원도 원주에서 출생해 흥업초등학교, 원주중학교, 대성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2]70~80년대의 대표적 작사가로 수많은 노래를 만들었으며, 시집과 수필도 다수 출간하였다.
생애
[편집]대표 작사 작품으로는 〈단발머리〉 〈모나리자〉 (조용필), 〈잊혀진 계절〉 (이용), 〈모닥불〉 (박인희), 〈당신도 울고 있네요〉 (김종찬), 〈빙글빙글〉 (나미), 〈아, 대한민국〉 (정수라), 〈그대 모습은 장미〉 (민해경), 〈그녀에게 전해주오〉(소방차) 등이 있다.[3][4]
《영원의 디딤돌》과 《고독은 하나의 사치였다》 등의 시집과,[5] 《나는 허수아비》 등의 수필집과 투병기 등을 펴냈다.[6][7]
1982년 KBS 가요대상 작사상을 수상하였으며, 1985년에는 아름다운 노래 대상(한국방송협회 주최)과 국무총리 표창 등을 받았다.[8]
2007년 12월 9일, 지병으로 인해 향년 59세를 일기로 고인이 되었다.[5][9] 사후 2010년 12월 원주시청 인근에 박건호공원이 조성되어 노랫말비를 제막하는 등의 사업이 진행되었으며,[2] 박건호 가요제, 시낭송대회 등이 매년 열리고 있다.[8][10]
작사곡
[편집]가수 | 곡명(앨범) | 작곡·편곡 | 연도 | 비고 |
---|---|---|---|---|
강승모 | 눈물의 재회 | 김영광 | ||
무정부르스 | 김영광 | 1983 | ||
걸스데이 | 반짝반짝 | 남기상 | 남기상, 강전명, 박건호 공동 작사 | |
김기웅 | 돈 벌러 가는 길 | 김기웅 | ||
김부자 | 멀리 갔다고 못오나 | 장욱조 | ||
김성희 | 목마와 사랑 | 이범희 | ||
김승덕 | 아베마리아 | 계동균 | 1985 | |
김연자 | 아침의 나라에서 | 길옥윤 | 1986 | |
김정수 | 가슴이 떨려 | 이호준 | ||
김종찬 | 당신도 울고 있네요 | 최종혁 | 1987 | |
토요일은 밤이 좋아 | 이호준 | 1987 | ||
김호중 | 무정 부르스 | 김영광 | ||
나미 | 보이네 | 김명곤 | 1984 | |
빙글빙글 | 김명곤 | 1984 | ||
사랑이란 묘한 거야 | 이호준 | 1987 | ||
유혹하지 말아요 | 김명곤 | 1987 | ||
나훈아 | 고향의 어머님 | 고봉산 | ||
생각나는 사람 | 이호 | |||
민해경 | 그대 모습은 장미 | 강인원 | 1988 | 강인원, 박건호 공동 작사 |
누구의 노래일까 | 이범희 | 1980 | ||
내 인생은 나의 것 | 방기남 | 1983 | ||
마스카라 | 김진룡 | 1990 | ||
'슬픈약속 | 이범희 | 1982 | ||
어느 소녀의 사랑이야기 | 1981 | |||
잠깐만 | 김창남 | |||
바니걸스 | 그 사람 데려다주오 | 김영광 | 1974 | |
박인희 | 갈대밭에서(1) | 손흥수·이현섭 | 1972 | |
겨울바다 | 이현섭 | 1975 | ||
끝이 없는 길 | 이현섭 | 1974 | ||
돌밥(1) | 박인희·이현섭 | 1972 | ||
마지막 태양이라면(1) | 손흥수·이현섭 | 1972 | ||
모닥불(1) | 박인희·이현섭 | 1972 | ||
세월아 | 김기웅 | 1974 | ||
소나무에 이름을 새기고(1) | 손흥수·이현섭 | 1972 | ||
아사녀(1) | 손흥수·이현섭 | 1972 | ||
어느 여름날(1) | 손흥수(채보)·이현섭 | 1972 | ||
이사도라(1) | 손흥수·이현섭 | 1972 | ||
접동새(1) | 손흥수·이현섭 | 1972 | ||
끝이 없는 길(2) | 이현섭 | 1975 | ||
눈빛만 보아도(2) | 이현섭 | 1975 | ||
오늘(2) | 이현섭 | 1975 | ||
아름다운 시절(2) | 이현섭 | 1975 | ||
햇님달님(Brother Sun Sister Moon)(2) | Sister Janetmead·방기남 | 1975 | ||
물긷는 여인(2) | 방기남 | 1975 | ||
잉크 한 방울(2) | 방기남 | 1975 | ||
실바람 속에(2) | 방기남 | 1975 | ||
나는너 너는나(2) | 이현섭 | 1975 | ||
나무벤취 길(3) | 미상·이정선 | 1976 | ||
그러면 됐지(3) | 이현섭·이철혁 | 1976 | ||
모닥불(3) | 박인희·이철혁 | 1976 | ||
다리위에서(3) | 박인희·이정선 | 1976 | ||
모래알(3) | 박인희·이정선 | 1976 | ||
내가 부를 이름은(3) | 이현섭· | 1976 | ||
돌밥(3) | 박인희·이철혁 | 1976 | ||
방주연 | 기다리게 해놓고 | 장욱조 | ||
설운도 | 잃어버린 30년 | 남국인 | ||
소방차 | 그녀에게 전해주오 | 김명곤 | ||
어젯밤 이야기 | 이호준 | |||
신정숙 | 그 사랑이 울고 있어요 | 김명곤 | 1991 | |
심신 | 오직 하나뿐인 그대 | 유영선 | 1991 | |
싸이 | 환희 | 김명곤 | 1988 | |
오승근 | 그대가 나를 | 김종희 | ||
유열 | 가을비 | 유영선 | 1987 | |
이별이래 | 최종혁 | 1987 | ||
잊을거야 | 김기표 | 1987 | ||
윤민수 | 어느 소녀의 사랑이야기 | 이범희 | 1981 | |
이건주 | 어른들은 몰라요 | 김명곤 | 1988 | |
이선희 | 괜찮아 | 이범희 | 1985 | |
이수미 | 내 곁에 있어주 | 김영광 | 1974 | |
이용 | 멀어진 사람 | 이범희 | 1982 | |
서울 | 이범희 | 1982 | ||
이별 뒤의 이야기 | 이경화 | 1983 | ||
잊혀진 계절 | 이범희 | 1982 | ||
잠들지 않는 시간 | 이범희 | 1984 | ||
지난 날의 미소 | 이범희 | 1982 | ||
이자연 | 구름 같은 인생 | 김영광 | ||
나만 생각하세요 | 이호섭 | |||
소근소근 | 김영광 | |||
아름다운 사랑 | 이호섭 | |||
아리랑처녀 | 최주호 | 1983 | ||
찬스 | 정경천 | |||
찰랑찰랑 | 이호섭 | 1995 | ||
이정희 | 바야야 | 오동식 | 1980 | |
임수정 | 연인들의 이야기 | 계동균 | ||
장은아 | 고귀한 선물 | 오동식 | ||
이 거리를 생각하세요 | 오동식 | 1979 | ||
장재남 | 빈의자 | 최종혁 | 1979 | |
전영 | 모두가 천사라면 | 외국곡 | 1983 | 원곡 : Romina Power - Il ballo del qua qua(1981) |
전유나 | 변신 | 유영선 | ||
정수라 | 내 사랑을 본 적이 있나요 | 김영광 | 1984 | |
좋은일이 없을까요 | 김영광 | 1983 | ||
눈물의 의미 | 김희갑 | 1983 | ||
도시의 거리 | 김명곤 | 1985 | ||
못다한 시간 | 방기남 | 1983 | ||
바람이었나 | 방기남 | 1983 | ||
밤이 흐르는 강변 | 김명곤 | 1983 | ||
백지위에 서있는 인생 | 김명곤 | 1983 | ||
사랑을 느낄 무렵 | 방기남 | 1983 | ||
아! 대한민국 | 김재일 | 1983 | ||
아버지의 의자 | 김희갑 | 1985 | ||
어부의 딸 | 김정택 | |||
왜 나를 사랑했나요 | 방기남 | 1983 | ||
외로운 소녀 | 김명곤 | 1983 | ||
우리들은 어디로 가나 | 방기남 | 1983 | ||
우리의 땅 | 방기남 | 1983 | ||
우울한 그대 미소 | ||||
좋은일이 없을까요 | 김영광 | 1983 | ||
풀잎이슬 | 김희갑 | 1983 | ||
하얀눈물 | ||||
환희 | 김명곤 | 1988 | ||
정종숙 | 새끼손가락 | 이현섭 | 1975 | |
조미미 | 진부령 아가씨 | 이호 | ||
조용필 | 그대 눈물이 마를 때(6) | 이범희 | 1984 | |
그대 숨결 속에서(10) | 이호준 | 1990 | ||
내모습(10) | 이호준 | 1990 | ||
눈물의 파티(6) | 이범희 | 1984 | ||
단발머리(1) | 조용필 | 1980 | ||
돌고 도는 인생(10) | 유영선 | 1990 | ||
마도요(9) | 조용필 | 1987 | ||
모나리자(10) | 조용필 | 1988 | ||
목련꽃 사연(10) | 조수지 | 1988 | ||
아하! 그렇지(9) | 이호준 | 1987 | ||
외로워 마세요(2) | 김영광 | 1980 | ||
이별의 인사(12) | 조용필·김영균 | 1992 | ||
주정이 | 가을이 오면 | 방기남 | ||
최유나 | 그대 그대 그대 | 방기남 | ||
최진희 | 눈물의 승차권 | 김희갑 | 1983 | 한울타리 원곡 |
물보라 | 김희갑 | 1984 | ||
우린 너무 쉽게 헤어졌어요 | 김희갑 | 1984 | ||
최혜영 | 그것은 인생 | 김재일 | 1983 | |
물같은 사랑 | 최주호 | 1983 | ||
코리아나 | 그날은 | 이호준 | 1993 | |
태진아 | 다시 한번 울었네 | 김희갑 | ||
한경애 | 겨울바다 | 이현섭 | 1981 | |
한소리 | 어느 소녀의 사랑이야기 | 이범희 | 1981 | |
한울타리 | 그대는 나의 인생 | 김희갑 | 1983 | 김희갑(리더), 최진희(보컬), 허영래(보컬, 베이스), 박기빈(색소폰), 이표영(건반), 이표영(오르간), 황용기(트럼펫), 노광일(드럼)으로 구성된 멤버였음. |
허림 | 인어이야기 | 김기웅 | 1973 |
각주
[편집]- ↑ 이찬호 (2008년 12월 10일). “박건호 예술혼 새긴 노랫말비 제막”. 《중앙일보》 (원주). 2020년 5월 1일에 확인함.
- ↑ 가 나 김설영 (2011년 12월 5일). “[원주]“故 박건호 선생 홍보 전국으로 확대하자””. 《강원일보》 (원주). 2017년 9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21일에 확인함.
- ↑ 글로벌 세계 대백과 사전(n.d.) 《박건호》. 2017년 9월 21일 확인함.
- ↑ 류일형 (2016년 6월 30일). “'아! 대한민국' 박건호 가요제 10월 8일 원주서 열려”. 《연합뉴스》 (원주). 2017년 9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21일에 확인함.
- ↑ 가 나 김용호 (2007년 12월 10일). “불후의 작사가 박건호씨 별세”. 《뉴시스》 (서울). 2017년 9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21일에 확인함.
작사가 박건호씨가 9일 오후 10시30분 지병으로 별세했다. 향년 58세.
- ↑ 한승동 (2007년 1월 12일). “[이사람] “노래는 인생이고 시는 예술이라죠””. 《한겨레》. 2017년 9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21일에 확인함.
- ↑ 이준삼 (2006년 12월 27일). “<사람들> 시인으로 돌아온 작사가 박건호씨”. 《연합뉴스》 (서울). 2017년 9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21일에 확인함.
- ↑ 가 나 박영복 (2016년 9월 26일). “‘박건호 가요제’ 이색적으로 교육열차서 예심 진행”. 《머니투데이》. 2017년 9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21일에 확인함.
- ↑ 강종훈 (2017년 12월 10일). “'아! 대한민국' 작사가 박건호 씨 별세”. 《연합뉴스》 (서울). 2017년 9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21일에 확인함.
... 1980년 대 후반 뇌졸중으로 언어장애와 손발이 마비되는 중풍을 앓았으며 신장과 심장 수술 등을 받고 오랜 투병 기간 ...
- ↑ 류일형 (2016년 10월 5일). “2016 박건호가요제…'시낭송대회'와 함께 열려”. 《연합뉴스》 (원주). 2017년 9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9월 2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