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출처 다음백과

존왕양이

다른 표기 언어

요약 후지다 도코, 아이자와 세이시사이 등이 제창한 미토가쿠를 사상적 기반으로 한 외세 배격 운동.

바쿠후는 1854년 미일화친조약에 조인하고 그 비준을 조정에 요구했다. 해외사정에 어두웠던 조정은 칙허를 내리지 않았다. 한편 극심한 빈곤 속에 있던 하급 무사층은 배격해야 마땅한 서양 열강의 압력에 굴복하여 바쿠후가 국교를 연 것에 분격했다. 1858년 때마침 쇼군 계승문제를 둘러싸고 분열되어 있던 바쿠후 측에서는 칙허를 기다리지 않은 채 반대파를 누르고 미일통상조약에 조인하고, 이어 존왕양이파에 대한 대탄압을 시작했다. 하급 무사층은 활발한 양이운동을 전개해나갔다. 여기에 미토 한, 조슈 한 등이 존왕양이를 슬로건으로 내걸고 적극적으로 가담하게 되었다. 그러나 4개국 함대와의 교전을 통해 양이의 무모함을 인식하게 되면서 양이운동은 급속히 쇠퇴했다. 이후 존왕과 바쿠후 타도로 그 운동방향을 바꾸어 메이지 유신의 원동력이 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