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출처 다음백과

푸라나

다른 표기 언어 Purana

요약 힌두교의 성전(聖典) 문학에서 대중적인 신화·전설·계보 등을 백과사전식으로 모아놓은 작품을 일컫는 말.

형성 연대와 기원이 매우 다양한 작품들이 전해지고 있다.

전통적으로 푸라나는 5가지 주제를 다루는데, 그것은 태초의 우주 창조, 주기적인 우주의 파괴 이후의 2번째 창조, 신과 성자들의 계보, 역사적 신기원을 이루는 사건들, 왕가의 역사이다. 푸라나는 주제상 바라타족의 대서사시 〈마하바라타 Mahābhārata〉와 많은 유사점을 갖고 있으며, 〈다르마샤스트라 Dharmaśāstra〉라고 불리는 의례서들과도 다소 연관되어 있다.

이러한 중심적 주제를 바탕으로 400~1000년에 그밖의 관습, 의례, 제사, 축제, 카스트의 의무, 보시, 사원과 신상의 건축, 순례지 등 종교적인 여러 주제를 다루는 많은 자료들이 푸라나에 첨가되었다. 푸라나들은 거의 대부분 서사시의 평이하고 물 흐르는 듯한 서술양식을 본받아 2행 대구의 형식으로 씌어져 있다. 몇몇 학자들은 시적인 면에서는 푸라나가 서사시보다 못한 것으로 평가한다.

오늘날 중요한 푸라나로서는 18개가 꼽히는데, 흔히 비슈누·시바·브라마 가운데 어느 신을 숭배하느냐에 따라 크게 분류되기도 하지만, 각 종파에서 자기 종파의 가르침을 더 대중적인 푸라나 형식 속에 펼쳐보이고자 한 결과 각 푸라나들의 내용 구성이 거의 비슷하다.

주요 18푸라나는 일반적으로 ① 비슈누·나라디야·바가바타·가루다·파드마·바라하, ② 마치야·쿠르마·링가·시바·스칸다·아그니, ③ 브라만다·브라마바이바르타·마르칸데야·바비야·바마나·브라마로 분류될 수 있다. 이 가운데 가장 대중적인 것은 〈바가바타푸라나〉인데, 특히 크리슈나의 초기 생애를 다루고 있는 부분은 인도인들의 종교적 삶 전반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위의 푸라나 외에도 비슷한 내용을 다루는 18개의 소(小)푸라나(Upapurāṇa)들이 있으며, 사원이나 성지를 찬양하여 사원의 예배 행사 때 암송되며 마하트미아(māhātmya)라고도 불리는 스탈라푸라나(sthala-Purāṇa) 등이 다수 전해지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