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출처 다음백과

트루먼

다른 표기 언어 Harry S. Truman
요약 테이블
출생 1884. 5. 8, 미국 미주리 러마
사망 1972. 12. 26, 미주리 캔자스시티
국적 미국

요약 트루먼의 재임기간 동안 미국은 소련·중국의 공산주의와 국제적인 대결 상태에 있었고, 그는 뉴딜 정책을 옹호했다.
1945년, 부통령이었던 트루먼은 자신의 61번째 생일이 지난 1개월 후 전임 루스벨트 대통령이 사임함에 따라 미국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그는 대통령직을 수행하기 위한 사전지식이 부족한 상태였으나 중요한 결정들을 처리했다. 그는 최선을 다해서 일본에 대한 원자탄 공격, 한국전쟁에 대한 미군의 참전 등을 결정했다. 그는 공산주의의 세력확장에 대항한 봉쇄정책, 노동자 및 농민의 생활수준을 향상시키고 소수민족에게 시민권을 확대시키기 위한 사회경제적 개혁정책 등 비록 성공하지는 못했지만 미래의 정책방향을 제시해주었다.

목차

  1. 개요
  2. 초기생애와 경력
  3. 대통령직의 승계
  4. 6·25전쟁의 발발
해리 트루먼(Harry S. Truman)

미국의 33대 대통령. 1944년 프랭클린 루즈벨트 대통령의 러닝메이트로 부통령에 당선되어 1945년 취임 3개월 만에 루즈벨트의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재임 기간 동안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폭탄 투하를 단행하고, 반소·반공을 내세운 ‘트루먼 독트린’을 선언했으며, 유럽 부흥을 위해 마셜 플랜을 실시했다.

ⓒ Spartan7W / WIKIPEDIA | Public Domain

개요

트루먼의 재임기간 동안 미국은 소련·중국의 공산주의와 국제적인 대결 상태에 있었고, 그는 뉴딜 정책을 옹호했다.

초기생애와 경력

트루먼은 노새 상인이자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다.

미주리 주의 인디펜던스에서 학교를 다녔으며 1901년에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그후 캔자스시티에서 은행원으로 일하다가 1906년 그랜뷰에 있는 외할아버지의 농장경영권을 물려받았다. 그밖에도 지방 우체국장, 철도 감독관, 주군(州軍) 등 다양한 경력을 쌓았다. 납광산(1915)과 유망한 사업이었던 석유사업(1916)에 공동 출자했으나 실패했다. 제1차 세계대전중 대위로 복무하는 동안 트루먼은 신중한 작전으로 두각을 나타냈고, 지도자에게 필요한 용감성과 자질을 발휘했다. 1919년 6월 28일에는 어린시절부터 잘 알고 지내던 인디펜던스 출신의 엘리자베스 월리스와 결혼했다.

캔자스시티에서 동업으로 잡화점을 개업했으나 실패했다. 이후 잭슨 군의 민주당 지도자인 토머스 펜더개스트의 도움을 받아 정계에 진출했다.

1922년 펜더개스트의 정치조직과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퇴역군인들의 지지를 받아 군재판관이 되었다. 그러나 딸 마거릿이 태어난 1924년 그는 뛰어난 행적에도 불구하고 케이케이케이단(KKK)과 연합한 비(非)펜더개스트파 민주당원에게 패배했다. 이후 그는 캔자스시티의 자동차 클럽에서 회원을 관리하는 일을 하면서 2년 동안 캔자스시티 법률학교의 야간강좌에 참석했다.

공동 출자했던 엥글우드에 있는 주 은행이 전(前) 경영자의 사기로 파산한 후 트루먼은 인디펜던스에 있는 지역상호은행을 경영하여 최초의 사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1926년 그는 펜더개스트의 후원에 힘입어 군 지방법원의 법원장이 되었다. 8년(2회 연임)에 걸쳐 군행정관으로 재직하는 동안 그는 정직성과 훌륭한 업무 수행능력을 인정받아 민주당원뿐만 아니라 공화당원의 지지도 얻었다. 한편 잭슨 군에서 절대적인 권력을 행사하고 있던 펜더개스트의 영향력은 1930년대초 주 전체로까지 확대되었는데, 그는 미주리에서 주지사 선임권과 하원의원 선정권을 장악했다.

그러나 1932년 펜더개스트는 주지사가 되려는 트루먼의 야망을 좌절시켰다. 또한 펜더개스트는 전국 민주당 전당대회에 참석할 미주리 주 대표로 트루먼을 지명하지 않음으로써 그가 트루먼을 측근으로 여기고 있지 않음이 판명되었다. 1934년 트루먼의 정치적 경력은 끝나는 것처럼 보였는데, 왜냐하면 군 행정관의 임기는 전통적으로 2회 연임에 한정되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그해 3월 실시된 시 선거의 투표소에서 발생한 정치조직의 폭력행위로 4명이 살해되었으며, 이 사건은 트루먼의 장래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었다.

3명의 후보는 앞으로 다가온 상원 예비선거에서 펜더개스트의 지원을 받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러나 트루먼은 재빨리 자신의 4번째 선택을 단행했고, 그는 잭슨 군에서 상원의원에 선출되었다.

1935년 트루먼은 부정직한 보스의 꼭두각시라는 의심을 받으면서 연방 상원에 진출했으나, 곧 성실성과 친절한 인간성으로 동료의원들의 지지를 얻었다. 민간항공협정(1938)을 기초했고, 그의 2년에 걸친 조사위원회 활동은 운송협정(1940)으로 결실을 맺었다. 그러나 1940년 선거에서 그의 재선 전망은 불투명했다.

펜더개스트가 뇌물 수수죄로 투옥된 이후 그의 정치조직은 거의 와해 상태에 있었다. 트루먼은 루스벨트 대통령이 제공한 주간(州間)통상위원회라는 자리를 마다하고 재출마했다. 당시 신문들은 3명의 예비선거 출마자 중에서 트루먼은 3위라고 보도했다. 그러나 이러한 예측에도 불구하고 트루먼은 최후의 순간 세인트루이스 민주당의 젊은 하위 지도자 로버트 E. 핸이건의 지원을 받아 아슬아슬하게 재선되었다. 상원의원으로 재선된 트루먼은 미국의 방위력과 군수산업에 관심을 쏟았다.

그가 주도한 국가방위에 관한 특별조사위원회는 독직·낭비·생산부족 등을 폭로하는 장문의 보고서를 작성하여 여론의 갈채를 받았다. 동시에 트루먼은 몇 차례에 걸쳐 핸이건을 승진시키는 등 정치적으로 후원했다. 1944년 1월 핸이건은 민주당 전국위원회의 의장으로 임명되었다. 핸이건은 1944년 선거에서 부통령후보로 헨리 A. 월리스 대신 트루먼을 지명하도록 루스벨트 대통령을 설득하는 데 성공했다. 그들은 선거에서도 승리했다. 그러나 트루먼이 부통령으로 재임한 기간은 82일이었으며, 대통령을 만난 것도 단 2차례뿐이었다.

그러므로 1945년 4월 12일 루스벨트 대통령이 사망할 당시 트루먼은 정부의 정책이나 계획에 대해 거의 지식이 없었다.

대통령직의 승계

트루먼은 자신의 61번째 생일이 지난 1개월 후 루스벨트의 뒤를 이어 미국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그는 대통령직을 수행하기 위한 사전지식이 부족한 상태였으나 중요한 결정들을 처리했다. 그는 국제연합(UN)에서 샌프란시스코 헌장 작성을 위한 회의를 개최하기 위해 신속하게 최종적인 협상을 전개했다(국제연합헌장). 또한 독일이 무조건 항복(1945. 5. 8)을 수락하도록 조정했다. 그해 7월에는 독일의 포츠담에서 정상회담을 가졌으나, 평화정착을 위한 결론을 이끌어낼 수 없었다(포츠담 회담). 태평양전쟁은 1945년 9월 2일 일본의 나가사키[長崎]와 히로시마[廣島]에 원자폭탄이 투하된 후 공식적으로 끝났다(핵무기). 원폭투하에 대한 트루먼의 결정은 일본이 미국을 공격한다면 약 50만명 이상의 미국인이 사망할 것이라는 참모들의 보고서에 입각한 것이었다.

5개월에 걸친 의회와 트루먼의 밀월은 1945년 9월 트루먼이 '경제권리법안'을 의회에 제출함으로써 끝이 났다.

그는 이 법안에 포함된 사회개혁들이 경기침체를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이 법안에 대한 여론의 반대는 점점 고조되었고, 이와 더불어 육류의 부족, 물가상승에 대한 국민의 인내력도 한계에 달했다. 트루먼이 자신의 측근으로 내각을 구성하자, 루스벨트 추종자였던 이들이 이탈했다. 결국 1946년 의회의 통제권은 공화당으로 넘어갔다. 2년 후 트루먼의 재선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판단한 많은 민주당원들은 그의 사임을 요구했다. 그러나 1948년 민주당 전당대회에서 트루먼은 상원의원인 앨번 W. 바클리 부통령후보와 함께 대통령 후보로 지명되었다.

모든 여론조사는 공화당 후보인 토머스 E. 듀이가 가볍게 승리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그러나 이러한 예상에 기죽지 않고 트루먼은 "공화당을 혼내주자 그들은 제80차 회기에서 아무 것도 하지 않았다"라고 공화당을 비난하면서 선거운동을 계속했다. 그해 11월 선거에서 트루먼은 E. 듀이를 선거인단 114표 차이로 물리치고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토마스 듀이(Thomas Edmund Dewey)

미국의 정치가, 법조인

ⓒ Greystone Studio, N.Y / wikipedia | Public Domain

1949년 미국 국민에 대한 대통령 연설에서 트루먼은 불황을 예방하기 위해 24개의 자유주의적 조항으로 구성된 공정정책(Fair Deal)을 제안했으나, 그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중 공공주택보급 계획만이 입법화되었다.

한편 그의 외교정책은 대단히 성공적이었다. 그는 소련을 세계평화를 방해하는 주요 걸림돌로 생각했으며, 소련의 영토확장 및 영향력 확대를 차단하기 위해 봉쇄정책을 추진했다. 이러한 그의 정책은 향후 10년 동안 미국 외교정책의 기조를 이루었다. 냉전시대에 트루먼은 그리스와 터키 정부에 경제적·군사적 지원을 실시하여 공산주의자의 압력을 완화시켰고(1947), 서유럽의 경제를 복구하기 위해 4년 동안 170억 달러의 원조를 제공했으며(마셜 플랜, 1948), 유럽의 비공산주의 국가를 주축으로 집단안보기구인 북대서양조약기구(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NATO)를 창설했다(1948)(트루먼 독트린). 1949년 중국에서 공산당이 정권을 장악하자 트루먼의 봉쇄정책은 중국으로 확대되었다.

1947년에는 미국중앙정보국(CIA)을 설립했다. 1948년 소련에 의해 베를린의 지상출입이 통제된 후 트루먼은 독일의 전(前) 수도에 항공편으로 물자를 공급했다(베를린 봉쇄와 공수). 또한 1947년에는 미개발국 원조계획인 포인트 포 계획(Point Four Program)을 제도화했으며, 1950년에는 소련이 원자폭탄 제조에 성공하자 소련에 대한 군사력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수소폭탄을 제조하기로 결정했다.

6·25전쟁의 발발

1950년 6월 한반도에서 북한의 공산주의자들은 남한을 장악하고자 남침해왔다.

트루먼은 UN의 제제조치와 함께 미국 군대를 한반도에 파견했으며, 더글러스 맥아더를 지휘관으로 임명했다. 맥아더는 곧 남한을 수복했고, 미국 행정부는 북한의 점령을 명령했다. 그러나 맥아더 군대가 압록강까지 진격하자 중국 공산당은 수백만 명의 군대를 전쟁에 참전시켰다. 맥아더가 중국에 대한 공격을 주장하자 트루먼은 그를 해임시켰다. 미국 국민들은 계속되는 전쟁을 좋아하지 않았고, 몇몇 연방 관리의 부정행위가 폭로되면서 트루먼의 마지막 임기 2년은 매우 혼란스러웠다.

맥아더 (Douglas MacArthur)

제2차 세계대전 연합군 점령기 전후의 일본을 통치한 미국 사령관

ⓒ Ciphers / wikipedia | Public Domain

위스콘신 주 상원의원 조지프 R. 매카시가 미국의 국무성과 여러 정부기관들이 공산주의자의 통제 아래 놓여 있다고 비난하자 트루먼 행정부에 대한 국민의 신뢰는 더욱 떨어졌다.

1953년 1월 트루먼이 임기를 마치고 인디펜던스로 돌아왔을 때 그의 인기는 다시 높아졌다. 과거에 대한 추억과 함께 대통령시절 그를 둘러싸고 있던 어두운 그림자도 제거되었다. 미국 국민에게 남아 있던 것은 대체로 외교에서 성공을 거둔 대통령에 대한 기억과 언젠가 트루먼이 자평했듯이 "최선을 다했던" 대통령에 대한 인상이었다.

은퇴 후 그의 생활은 활동적이었으며, 이러한 생활의 단면은 건강이 허락하는 한 계속되었던 그의 아침 산책에서 찾을 수 있다. 역대 미국의 대통령들과 비교해볼 때 트루먼은 확실히 가장 강력한 대통령 중의 한 사람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통령 재임시 그에 대한 세평은 그가 미국의 대통령직을 수행하기에는 너무나 약하다는 것이었다. 불행하게도 트루먼은 북부의 민주당원들에게는 그의 선임자이며 인기 있던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과 비교되었다.

또한 남부의 민주당원들은 자유주의적인 그의 시민권 개혁정책을 비난했고, 전쟁중에는 공화주의적인 고립주의자들과 경제적 보수주의자들로부터 공격을 받았다. 분명 트루먼은 뒤숭숭한 시기에 대통령직을 수행했다. 그러나 임기가 끝난 후 트루먼이 추구했던 노력의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었다. 특히 공산주의의 세력확장에 대항한 봉쇄정책, 노동자 및 농민의 생활수준을 향상시키고 소수민족에게 시민권을 확대시키기 위한 사회경제적 개혁정책은 비록 성공하지는 못했지만 미래의 정책방향을 제시해주었다.

트루먼은 1972년 미주리 주의 캔자스시티에서 죽었으며 인디펜던스에 있는 트루먼 도서관 묘지에 안장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