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출처 다음백과

투트모세 1세

다른 표기 언어 Thutmose I
요약 테이블
출생 미상
사망 미상
국적 이집트

요약 이집트 제18왕조의 왕(BC 1493~1482경 재위).

이집트 제국을 누비아(지금의 수단)까지 확장시키고 또 시리아 깊숙이 침투해 들어갔다. 어머니는 왕족이 아니었으나 그는 즉위하기 얼마 전쯤에 선왕의 딸과 결혼해 왕위계승권을 확고히 했다. 또 테베에서 발견된 예배소를 통해 기간은 확실하지 않지만 선왕과 공동 통치했던 것을 알 수 있다.

즉위하던 날 그는 누비아의 총독에게 자신의 새로운 명칭과 대관식을 알리는 서신을 보냈다. 재위 2년째 투트모세는 선왕 때의 국경을 넘어 강을 타고 누비아 깊숙이 원정했다. 길따라 새겨져 있는 비문에 나타나 있듯이 그는 나일 제4폭포를 지나 카니사쿠르구스에 새 국경을 세웠다. 이 모험은 원정에 참여했던 2명의 상(上)이집트인의 전기를 통해 알 수 있다. 누비아로 깊숙이 밀고 들어간 이유 중 하나는 이 지역에 금이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었기 때문이며 이 금은 제18왕조 때 상당히 채굴되었다. 또다른 이유는 제3폭포 근처에 중심을 두고 있던 적대세력 쿠시 왕국이 제17왕조 때 이집트를 크게 위협했기 때문이었다. 누비아 전쟁이 끝난 뒤 투트모세는 얼마 전까지 이집트를 지배했던 아시아의 침략자 힉소스족을 계속 쫓아가 시리아의 카르체미시 부근에 있는 유프라테스 강까지 밀고 들어갔다.

투트모세는 이집트 국내적으로는 테베에 있는 중왕국의 아몬 신전을 완전히 보수했다. 신전 둘레에 담을 쌓고 서쪽 끝에는 사이에 조그만 회랑이 있는 2개의 탑을 만들었다. 바깥 탑 앞에는 2개의 오벨리스크를 새로 세웠다. 투트모세 때 신전의 대칭양식은 신왕국시대 신전의 표본이 되었다. 그보다 먼저 죽은 두 아들 중 하나는 군사령관이 되어 신왕국시대의 군사 작전 중심지였던 지금의 카이로 근처 멤피스에서 근무했다. 후대왕들은 이를 본받아 왕세자를 멤피스에 배치하고 그곳에서 군사기술을 익히게 했다.

또한 투트모세는 테베에 있는 왕들의 무덤 계곡에 자신의 무덤을 세우도록 한 최초의 왕인데 자신의 무덤의 안전을 위해 그렇게 한 듯하다. 그밖에 테베 서쪽의 다이르알마디나에 무덤 건설에 동원된 일꾼들의 마을을 세웠으며, 선왕이 시작한 공동묘지 건설의 지휘조직을 완성시킨 것도 그의 업적으로 추측된다. 재위기간은 여전히 불확실하나 최고 9년까지 확인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