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출처 다음백과

촌충

다른 표기 언어 tapeworm , 寸蟲

요약 촌충은 크기가 약 1㎜부터 15m 이상 되는 것까지 있다. 내부기생충이며 일부 무척추동물과 모든 척추동물의 간이나 소화관에 침범한다. 단일 숙주에 침범하는 것도 있고, 어떤 것들은 종말숙주와 중간숙주를 모두 필요로 한다. 촌충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병은 조충병 또는 촌충감염이라고 한다. 촌충의 종류로는 갈고리촌충, 민촌충, 물고기촌충 등이 있다.
촌충은 좌우대칭이다. 하나의 긴 마디로 되어 있는 것도 있고, 뚜렷한 머리와 이것을 뒤잇는 편절이라고 하는 일련의 동일한 마디들로 되어 있는 것도 있다. 머리, 즉 두절에는 빨판과 갈고리가 있어 숙주에 부착하는 데 쓰인다. 몸은 단단한 큐티클로 덮여 있는데 이것을 통해 먹이가 흡수된다. 입·소화관은 없으며, 대부분이 자웅동체이고 자가수정을 하며 생활사가 복잡하다.

촌충은 세계적으로 널리 나타나며 크기가 약 1㎜인 것부터 15m 이상되는 것까지 있는데, 내부기생충이며 일부 무척추동물과 모든 종류의 척추동물들(사람 및 사육동물, 그리고 어류와 같은 그밖의 식용동물들)의 간이나 소화관에 침범한다. 어떤 것들은 단일 숙주에 침범하고, 다른 것들은 생활사 중에 종말숙주뿐만 아니라 한두 중간숙주도 필요로 한다. 촌충으로 인해 일어나는 질병은 조충병으로 알려져 있다(→ 조충병).

Taenia saginata

ⓒ wikimedia commons | Public Domain

촌충은 좌우대칭이다. 어떤 것들은 하나의 긴 마디로 되어 있고, 다른 것들은 뚜렷한 머리와 이것을 뒤잇는 편절이라고 하는 일련의 동일한 마디들로 되어 있다. 머리, 즉 두절에는 빨판과 또 이따금 갈고리가 있어, 숙주에 부착하는 데 쓰인다. 몸은 단단한 큐티클로 덮여 있는데 이것을 통해 먹이가 흡수된다. 입·소화관도 없다. 대부분의 촌충이 자웅동체(즉 한 개체 내에 기능을 하는 양성의 생식기관이 모두 들어 있음)이고 보통 자가수정을 하며, 생활사가 복잡하다.

갈고리촌충은 날 돼지고기를 먹으면 어디에서나 나타나는데, 성체 단계에 사람의 창자 안에서 산다. 수정 후 각 편절에는 피막에 싸인 4만 개나 되는 배들이 들어 있다. 만약 숙주의 배설물과 함께 나간 배가 개·낙타·돼지·원숭이 또는 사람과 같은 포유동물에 먹히면 소화관에서 유생이 된다. 유생은 장 벽을 뚫고 혈관 속으로 들어가 근육조직으로 운반되는데, 이곳에서 보호용 피막[被囊 encyst]을 만들며 이것을 낭미충 또는 낭충(bladder worm)이라고 한다. 만약 낭미충이 날고기에 들어 있어서 산 채로 먹히면, 숙주의 창자에 붙어 곧바로 성숙한 성체로 발달한다.

민촌충은 쇠고기를 날로 또는 적절히 조리되지 않은 상태로 먹는 곳이라면 세계 어느 곳에서나 나타나는데, 그 생활사가 갈고리촌충의 생활사와 매우 비슷하다. 사람이 종말숙주이고 소가 중간숙주의 구실을 한다.

물고기 촌충인 넓은마디촌충은 북반구의 물에 흔한데 사람과 물고기를 먹는 다른 포유동물들 특히 곰과 개에 침범한다. 수정란은 배설물에 섞여 숙주의 몸 밖으로 나간다. 물에서 수정란이 발생하여 털처럼 생긴 유생이 되고, 이 유생은 미소한 갑각류에게 먹힌다. 이 갑각류는 다시 물고기에게 먹힌다. 유생은 물고기의 근육조직 속에서 피낭을 쓰게 된다. 어떤 포유동물이 이 물고기를 먹으면 그 안의 유생은 포유동물의 창자에 붙어 성숙한 성체로 발달한다. 이 촌충의 숙주가 되는 물고기들로는 송어류·연어류·퍼치고기 등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