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출처 다음백과

선천적 심장질환

다른 표기 언어

목차

  1. 심장 방의 이상
  2. 심방중격의 이상
  3. 심실중격의 이상
  4. 판막의 이상
  5. 심장근육층과 심장속막의 이상

심장 방의 이상

좌심실의 미발달증상은 심장·대동맥의 발달 부진으로 일어나며 태어난 지 2~3일 만에 죽고 생존율은 매우 희박하다.

심방중격의 이상

심방중격의 이상은 좌심우심방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아 혈액이 섞이게 되며 폐순환하는 혈액량이 증가한다. 폐의 혈압 증가와 계속된 심장의 오른쪽 부분에 부담이 가면 우측심부전을 일으킬 수 있다. 비록 치명적이지는 않지만 유아기에 치료해야 한다(→ 심방중격결손).

심실중격의 이상

심실중격의 이상은 두 심실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아서 일어나지만 치명적이지는 않다.

다른 심장기형을 동반하기 쉬우며 때로는 세균성심내막염의 위험이 있다(→ 심실중격결손).

판막의 이상

가장 흔한 선천성 질환으로 3개의 첨판으로 구성되어야 할 판막이 2개의 첨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생명에 큰 지장은 없다. 그러나 나이가 들면서 심내막염의 위험이 커질 수 있고, 심한 경우 우심실근육의 과비대로 증상 없이 급사할 수도 있다. 대동맥판막의 협착이 서서히 진행되는 상태라면 외과적 수술이 필요하다.

심장근육층과 심장속막의 이상

선천적인 이상으로서 보통 종양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심장의 정상적인 수축과 이완이 방해를 받는다.

수술로 치료할 수 없어 치명적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