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출처 다음백과

이인형

다른 표기 언어 李仁亨 동의어 문원, 聞遠, 취은, 醉隱
요약 테이블
출생 1436(세종 18), 경남 함안
사망 1504(연산군 10)
국적 조선, 한국

요약 조선 전기의 문인. 매화가 피어 있는 창에 달이 비친 경치를 중국고사와 연관시켜 노래한 가사작품 〈매창월가〉가 전한다.

본관은 함안. 자는 공부, 호는 매헌. 아버지는 대사성 미이며, 어머니는 진주강씨로 비호의 딸이다. 김종직의 사돈이자 그의 문인이다. 20세에 진사가 되었고, 1468년(세조 14) 식년문과에 장원, 북평사·금산군수를 거쳐 대사헌·한성부우윤에 올랐다.

1504년 갑자사화 때 무오사화에 연루된 유생들의 구명을 주동한 것이 문제가 되어 부관참시를 당했으나, 1506년(중종 1) 신원되고 예조판서에 추증되었다. 매화가 피어 있는 창에 달이 비친 경치를 중국고사와 연관시켜 노래한 가사작품 〈매창월가 梅窓月歌〉가 전한다. 이 작품은 모두 29구로, 단가인 시조와 장가인 가사의 중간형식으로 되어 있다. 1475년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정극인의 〈상춘곡 賞春曲〉과 더불어 조선 전기의 대표적인 은일가사로 평가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