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출생 | 1858, 서울 |
---|---|
사망 | 1916 |
국적 | 일제강점기, 한국 |
요약 친일파.
본관은 인천. 자는 공칠·설악. 아버지는 명흡이다. 매우 가난한 평민집안 출신이다.
1882년(고종 19) 임오군란 뒤 무과에 급제, 친군초관이 되었다. 수문장·훈련주부·첨정 등을 거쳐 1889년 흥해군수가 되었다. 1894년 동학농민혁명이 일어나자 장위영영관으로 농민군 진압을 위해 죽산부사로 임명되었다. 양호도순무영 우선봉으로 공주전투에서 전봉준이 이끄는 농민군 주력부대를 이인역에서 격퇴하고, 전주를 탈환하는 등의 전공을 세웠다. 이어 청일전쟁에 참전하여 통역과 정찰활동을 하고, 평양민을 동원하여 청군의 시체를 처리했다.
1895년 양주목사가 되었다가 일본인이 교관인 훈련대 제2대대장이 되었다. 그해 8월 20일 일본공사 미우라 고로[三浦梧樓]가, 삼국간섭 이후 러시아 세력을 끌어들이는 등 반일적 정책을 취하는 명성황후를 일본 낭인패와 군을 동원하여 학살한 을미사변에 훈련대를 이끌고 광화문의 경비를 맡았다. 명성황후 학살사건의 책임을 물어 정부에서 훈련대를 해산시키려 하자 김홍집 이하 각료들을 해치려고 했으나, 부대가 해산되자 피신했다.
1896년 2월 아관파천이 일어나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한 고종이 그를 체포하라는 명령을 내리자, 일본으로 피신해 일본 정부의 비호하에 생활했다. 1907년 순종이 왕위에 오른 뒤 통감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가 특사를 단행하자 귀국하여 중추원참의가 되고, 이듬해 전라북도관찰사가 되었다. 한일합병 뒤 전라북도 도장관으로 재직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