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요약 이황(李滉)의 이기론을 대표하는 학설로 사단과 칠정(七情)을 각각 이발(理發)과 기발로 나누어 설명하는 이론.
주자성리학의 이기론을 새로운 철학적 세계관으로 받아들인 조선조의 유학자들은 주로 심성론(心性論)의 문제를 해명하는 데 관심을 기울였다. 그 대표적인 학문적 성과가 사단칠정논쟁인데, 이기호발설은 그 논쟁 가운데서 이황이 정립한 학설을 가리킨다. 주자성리학에서는 마음이 사물에 감촉되지 않은 상태, 즉 심(心)의 미발을 성(性)이라 하고, 마음이 사물에 이미 감촉되어 의식이나 감정이 발동한 상태, 즉 심의 이발(已發)을 정(情)이라 한다.
사단과 칠정은 모두 정을 가리키는 개념이라는 점에서 같은 범주에 속하는데, 다만 사단은 순선(純善)이고 칠정은 선악(善惡)을 겸한 것이라고 보았다. 조선의 성리학자들은 그러한 차이를 이기론적으로 설명하면서 사단과 칠정을 각각 이와 기에 대응시켜 사단은 심 가운데 이가 발한 것으로, 칠정은 기가 발한 것으로 설명했다. 그러나 16세기에 이기일원론의 세계관을 가진 성리학자들이 등장하면서 이러한 사단칠정론과는 다른 견해가 제시되었다. 그들은 사단과 칠정을 명확히 구별하여 각각 이와 기에 분속하는 것을 반대하면서, 사단은 칠정 가운데 선한 측면을 가리키는 것이라고 했다. 그리고 사람의 의식이나 감정의 발동은 운동능력을 갖추고 있는 기의 작용으로 파악하고, 사단과 칠정은 모두 기가 발한 것으로 설명하려 했다. 이러한 견해를 본 이황은 기존의 이기이원론에 따른 견해를 계승·발전시킨 사단칠정론을 정립했다. 그는 이와 기의 관계가 비록 밀접해서 서로 떨어질 수 없는 것이라 하더라도, 사단은 그것이 유래하는 바(所從來)가 마음속에 있는 본연지성이요 칠정은 그 유래하는 바가 기질지성이며, 또 사단은 주로 하여 말하는 것(所主而言)이 이에 있고 칠정은 기에 있기 때문에 각각을 이지발(理之發)과 기지발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고 했다. 이러한 입장에서 사단은 이가 발함에 기가 따르는 것(理發氣隨)이고 칠정은 기가 발함에 이가 타는 것이라는 자신의 견해를 정립했다. 이황의 이러한 이기호발설의 사상사적 의미는 이기이원론적 입장을 더욱 심화시켰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주자성리학에서 이와 기의 관계는 '서로 떠날 수 없으나, 서로 섞이지도 않는 것'으로 설명하는데, 이중 후자의 측면을 주목하면 이와 기가 명백히 구별되는 별개의 실재라는 점을 강조하게 된다. 이황의 이기호발설은 바로 이러한 견해를 명백히 표현한 것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