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출처 다음백과

은언군

다른 표기 언어 恩彦君
요약 테이블
출생 1755(영조 31)
사망 1801(순조 1)
국적 조선, 한국

요약 은언군은 사도세자의 서자로 10세에 은언군에 봉군되었다. 1771년(영조 47) 바람직하지 않은 행실로 은신군 진과 함께 관직에 기용되지 못한다는 처벌을 받고, 이어 시전 상인들에게 진 빚을 갚지 않았다 하여 은신군과 함께 충청도 직산에 유배되었다. 이어 제주도로 유배되었다가 1774년 풀려났다.
1776년 영조가 죽자 수릉관에 임명되고, 이듬해 흥록대부가 되었다. 당시 실권자이던 홍국영이 은언군의 맏아들 담을 죽은 원빈의 양자로 삼아 완풍군이라 하고 왕위를 잇게 하려 했다. 그러나 담은 홍국영과 틀어져 오히려 모반죄로 몰려 유폐되고, 1786년 독살되었다.
이 일로 은언군도 정조의 명에 따라 강화도로 옮겨져 살게 되었다. 1801년(순조 1) 신유사옥 때 처 송씨와 담의 처인 며느리 신씨가 천주교도라 하여 붙잡혀 죽고, 그도 사사되었다. 1849년 손자 원범이 철종으로 즉위하자 신원되었다.

이름은 인(裀). 사도세자의 서자로 어머니는 숙빈임씨이다. 10세에 은언군에 봉군되고, 13세에 송낙휴의 딸과 혼인했다.

1771년(영조 47) 외람되게 구종·별배를 많이 거느리고 다닌다는 이유로 은신군(恩信君) 진(禛)과 함께 관직에 기용되지 못한다는 처벌을 받고, 이어 시전 상인들에게 진 빚을 갚지 않았다 하여 은신군과 함께 충청도 직산에 유배되었다. 이어 제주도 대정으로 옮겨 위리안치되었다가, 1774년 풀려났다.

1776년 영조가 죽자 수릉관에 임명되고, 이듬해 흥록대부가 되었다. 당시 실권자이던 홍국영은 누이동생을 원빈으로 들였으나 1780년에 죽자, 은언군의 맏아들 담(湛)을 원빈의 양자로 삼아 완풍군(뒤에 상계군으로 개칭)이라 하고 왕위를 잇게 하려 했다. 그러나 담은 홍국영과 틀어져 오히려 모반죄로 몰려 유폐되고, 1786년 독살되었다. 이 일로 은언군도 정조의 명에 따라 강화도로 옮겨져 살게 되었다.

1789년 강화도에서 도망쳐 나왔으나 붙잡혀 다시 강화도에 안치되었다. 그뒤 정조가 죽고 순조가 즉위해 정순왕후(貞純王后)가 수렴청정하게 되자, 벽파 세력에 의해 우선적으로 제거될 대상으로 지목되었다. 1801년(순조 1) 신유사옥 때 처 송씨와 담의 처인 며느리 신씨가 청나라 신부 주문모로부터 영세를 받은 천주교도라 하여 붙잡혀 죽고, 그도 사사되었다. 1849년 손자 원범이 철종으로 즉위하자 신원되었다.

은언군(恩彦君)과 그의 부인 상산군부인 송씨의묘비

ⓒ Eggmoon/wikipedia | CC BY-SA 3.0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