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요약 풀이씨'라고도 한다. 형태적으로 활용을 하며, 어떤 주체·사물의 동작이나 작용, 성질이나 상태를 서술하는 기능을 한다. 용언은 주로 문장의 서술어가 되지만, 다양한 어미활용에 의해 문장의 거의 모든 성분이 될 수 있다. 용언의 활용은 어간에 일정한 어미가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용언의 활용형에서 맨 마지막에 연결되는 어미는 어말어미이고, 어간과 어말어미 사이에 나타나는 어미는 선어말어미이다. 어말어미에는 종결어미, 연결어미, 전성어미가 있다. 어간이나 어미의 모습이 변하지 않고 일반적인 어미를 취하는 것을 규칙활용이라 하고, 어간이 모습을 바꾸거나 어미의 모습이 변하는 경우를 불규칙활용이라 한다. 한편 자립성이 없이 일정한 활용형 뒤에서만 쓰여 그 말에 문법적 의미를 더해주는 용언을 보조용언이라 한다.
'풀이씨'라고도 한다.
형태적으로는 활용을 하며, 어떤 주체·사물의 동작이나 작용, 성질이나 상태를 서술하는 기능을 한다. 형용사나 동사에 속하지 않았지만 이들과 같은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이른바 계사(繫辭) '이다'가 있다(이것은 책이다). '이다'는 활용을 하고 선행체언과 함께 주체를 서술하는 등 용언과 같은 기능을 한다. 그러나 '이다'는 자립성이 없으므로 동사·형용사와 다르다. 이러한 '이다'의 특수한 성격으로 말미암아 이의 처리에 대하여 많은 논란이 있어왔다. '이다'를 서술격 조사로 처리하기도 하고 또는 지정사(指定詞:잡음씨)라는 독립품사로 설정하여 용언의 한 하위개념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이다'를 독립된 품사로 인정하지 않는 입장에서는 체언의 활용어미로 파악하여 처리하기도 한다.
용언은 주체를 서술하는 것을 주된 기능으로 하여 주로 문장의 서술어가 되지만, 다양한 어미활용에 의해 문장의 거의 모든 성분이 될 수 있다. 용언의 어간에 명사형 어미가 연결되면 명사의 자격을 갖게 되어 명사가 담당할 수 있는 모든 문장성분이 될 수 있고 관형사형 어미가 연결되면 관형사가 담당할 수 있는 문장성분이 될 수 있다.
용언의 활용은 어간에 일정한 어미가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용언의 활용형에서 배열상 맨 마지막에 연결되는 어미는 어말어미(語末語尾)이고, 어간과 어말어미 사이에 나타나는 어미는 선어말어미(先語末語尾)가 된다. 어말어미에는 문장을 끝맺는 기능을 하는 종결어미와 문장을 접속하는 기능을 하는 연결어미, 그리고 문장을 전성형이 되게 하는 전성어미가 있다.
그중에서 '-아/어·-게·-지·-고'와 같은 어미는 전통적으로 부사형 어미라 하여 전성어미의 한 갈래로 다루어왔으나, 실제문장에서 이들 어미가 결합한 활용형이 부사어로 기능하기보다는 뒤에 오는 보조용언과 함께 서술어의 기능을 하므로 연결어미의 한 하위부류인 보조적 연결어미로 처리하기도 한다.
선어말어미는 종래에 보조어간이라는 명칭으로 불렸으나 그 성격으로 보아 어간보다는 어미에 귀속시키는 것이 문법기술에서 유리하다.
선어말어미에는 존경의 '-시-', 시제의 '-았/었-', '-겠', 회상의 '-더-' 등이 포함되며 중요한 문법범주를 형성한다. 또한 종래 보조어간으로 다루어지던 피동·사동의 '-이-', '-히-', '-리-', '-기-' 등은 그 분포 면에서 선어말어미와 다르므로 일반적으로 파생접미사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선어말어미가 여러 개 같이 쓰일 때는 그 배열에 일정한 순서가 있다. '(보)-시-었-겠-사옵-더-이(다)'에서 보듯이 존경법이 가장 앞서고 그 다음에 시제 또는 시상법, 그리고 겸양법, 공손법의 순서로 배열된다.
용언이 활용될 때 그 모습은 항상 일정하지 않다.
어간이나 어미의 모습이 변하지 않고 일반적인 어미를 취하는 것을 규칙활용이라 하고 어간이 모습을 바꾸거나 어미의 모습이 변하는 경우를 불규칙활용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용언 어간은 거의 대부분이 어미를 다 취할 수 있으나 몇몇 동사는 '다오, 달라, 가로되, 가론, 가라사대', '데리고, 데려' 등과 같이 그 어간이 취할 수 있는 어미가 극히 제한되어 있는 경우도 있어 이러한 것들을 불완전동사라 한다.
한편 자립성이 없이 일정한 활용형 뒤에서만 쓰여 그 말에 문법적 의미를 더해주는 용언을 보조용언이라 하는데, 품사를 구별하여 보조동사(조동사)·보조형용사라고 한다. 이들은 주로 부정법(-지 아니하다, -지 못하다), 피동법(-아/어 지다, -게 되다), 사동법(-게 하다), 동작상(-고 있다, -아/어 있다) 등의 문법범주를 형성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