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출생 | 1813. 9. 13, 헝가리 부도 |
---|---|
사망 | 1871. 2. 2, 페슈트 |
국적 | 헝가리 |
요약 헝가리의 소설가·평론가·교육자·정치가.
근대 헝가리 문학을 탄생시켰으며 근대 민주국가를 세우는 일에 일생을 바쳤고 애국적인 저서를 남겼다.
부도에서 공부하는 동안(1826~31) 자유주의 사상에 고무받아 헝가리 사회개혁의 열망을 품게 되었으며, 1836~41년에 영국과 프랑스에서 사회상황을 연구하고 자유주의적인 인류애와 낭만주의, 공상적인 사회주의에 깊은 감명을 받고 돌아왔다. 문학의 사회적 사명을 선언한 그의 모든 작품활동은 가난을 타파하기 위한 투쟁이었다. 첫번째 장편소설 〈카르투지오회 A karthausi〉(1839~41)에는 프랑스 7월혁명(1830)에 대한 실망이 나타나 있는데, 그는 이 작품을 통해 헝가리의 봉건제를 비판하고자 했다.
그의 평론과 산문 작품들 역시 근대적 형법전 마련과 가난 추방을 주장하고 있다. 〈마을의 공증인 A falu jegyzöje〉(1845)에서는 과거의 헝가리를 통렬히 풍자했고, 16세기의 농민봉기를 다룬 역사소설 〈1514년의 헝가리 Magyarország 1514-ben〉(1847)를 통해 농노제 폐지 여론을 조성했다. 그는 1848년 혁명정부의 교육부장관이 되었으나 로요슈 코슈트와의 의견차이 때문에 그해에 사임했다. 1851년까지는 뮌헨에 살면서 그의 걸작인 〈19세기의 여러 통치사상이 국가에 미친 영향 A tizenkilen#162k század uralkodó eszméinek befolyása az álladalomra〉(1851~54)을 집필하기 시작했다. 그는 이 책에서 프랑스 혁명의 원칙을 이끌어내고자 했으며, 영국 입헌주의 이념과 실제에 바탕을 둔 이상적인 자유주의 국가를 그렸다. 그는 오스트리아와 헝가리의 관계가 1848년 혁명의 원칙을 기초로 정립되기를 바랐는데 1867년의 대타협은 어느 정도 그의 노력의 결과였다.
말년에는 정치가이자 사상가로서 열심히 활동했다. 1864년에 출간된 그의 사색집에는 혁명 이후 헝가리 문학의 특징으로 나타난 유형에 점차 초연한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헝가리 학술원을 개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서유럽의 여러 학자들과 계속 밀접한 관계를 가졌다.
1867년 이후에 다시 교육부장관이 되어 교육제도의 현대화에 온 힘을 쏟았다. 혁명 후에 1편의 시도 쓰지 않았으며 자신의 교육관을 설명한 〈자매들 Növerèk〉(1857)이라는 단 1편의 장편소설을 썼을 뿐이다. 그러나 그의 문학작품은 대단한 중요성을 지닌다. 그의 단편소설은 처음으로 새로운 농민상을 제시한 작품이었으며 그 자신은 낭만주의 소설이 유행하던 시대에 사실주의를 시도한 선구자였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