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지금의 완주군은 옛 전주부(全州府)와 고산현(高山縣)이 합해 이루어진 곳이다. 옛 전주부는 삼국시대에 백제의 비사벌 또는 비자화였다. 555년 이곳에 완산주(完山州)가 설치되었다가 565년에 폐지되었으나, 신라의 삼국통일 후 685년(신문왕 5)에 완산주(完山州)를 다시 설치했다. 757년(경덕왕 16)에 전주(全州)로 개칭, 1소경(小京)·10군(郡)·31현(縣)을 관할하는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
900년(효공왕 4)에 견훤이 무주(武州 : 광주)로부터 이곳으로 후백제의 도읍을 옮겨 백제의 부흥에 힘을 기울였다. 그러나 936년(태조 19)에 후백제가 망하자 안남도호부(安南都護府)가 설치되었다가 940년에 다시 전주로 회복되었다. 983년(성종 2)에 12목 가운데의 하나인 전주목이 설치되었으며, 993년에 승화(承化)로 개칭하고 절도안무사(節度安撫使)를 두었다. 995년에는 강남도 관하의 전주순의군절도사(全州順義軍節度使)가 되었다가 1018년(현종 9)에 다시 안남대도호부로 승격되고, 1022년에 전주목으로 개칭되어 1곳의 속군과 11곳의 속현을 포함하는 큰 고을이 되었다. 1310년(충선왕 2)에 전주로 강등되고, 전라도안렴사 정지상이 원나라 사신인 야사불화를 감금한 사건으로 1355년(공민왕 4)에 부곡으로 강등되었다가 이듬해에 완산부(完山府)로 복구되었다. 조선이 건국된 후 1392년(태조 1)에 전주 이씨의 본향지라 하여 완산부유수(完山府留守)로 승격되었으며, 1403년(태종 3)에 전주부로 개칭되어 조선시대 동안 유지되었다. 전주의 별호는 완산(莞山)·견성(甄城)이었다. 지방제도 개정에 의해 1895년에 전주부 전주군, 1896년에 전라북도 전주군이 되었다. 1906년 월경지 정리 때 양양소면을 연산으로, 비입지인 동일면·북일면·남일면·남이면·서일면과 두입지인 우북면을 익산으로, 비입지인 이동면·이서면·이북면을 만경으로 이관함으로써 면적이 크게 줄어들었다. 그러나 1914년의 군면 폐합 때 고산군이 폐지되어 합속됨으로써 다시 행정구역이 확대되었다. 1935년에 전주면이 부로 승격되어 독립하자, 완주군으로 개칭되고 운동하면과 운선면이 운주면으로 합해졌다. 1956년에 삼례면, 1973년에 봉동면, 1985년에 조촌면이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1987년에 조촌읍은 전주시로 이관되었다. 1989년에 운주면 경천출장소가 경천면으로 승격되었다(→ 고산현).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