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요약 수어족(語族)에 속하는 데기하어를 쓰는 북아메리카 평원 인디언.
오마하족에 속하는 오세이지족·퐁카족·칸사족·콰포족과 함께 대서양 연안에서 서쪽으로 이주했다.
처음에는 버지니아와 캐롤라이나에 정착했다가, 얼마 후 오자크 대지와 지금의 미주리 주 서부의 초원지대로 옮겼다. 이때 오마하족과 퐁카족은 대열에서 이탈하여 북쪽에 있는 지금의 미네소타로 옮겨 17세기말까지 살았다. 이들은 이주해오던 다코타족에 의해 그 지역에서 다시 서쪽으로 쫓겨나는 과정에서 서로 분리되었으며, 오마하족은 지금의 네브래스카 바우크리크 지역으로 계속 이동했다. 1854년 개척지를 확장하려는 백인들로부터 압력을 받고 오마하족은 대부분의 영토를 미국 정부에 팔아넘겼다. 1882년 정부는 오마하족이 오클라호마로 이주하는것을 막기 위해 땅을 배정해주었으며, 얼마 후에는 미국 시민권을 부여했다. 1780년의 인구는 약 2,800명이었던 것으로 추산되며, 20세기 후반 현재 약 1,500명이 네브래스카 보호구역에서 살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다른 초원 부족들과 마찬가지로 오마하족은 농사와 사냥을 겸했다. 봄과 가을이면 돔형의 토담집들로 이루어진 정착마을에서 거주했고, 사냥철이면 이동이 가능한 천막집으로 옮겨서 살았다. 사회조직은 정교하여, 추장·사제·치료사·평민으로 이루어진 계급 제도가 있었다. 계급은 부계혈통을 따라 세습되었으나, 말과 담요를 나누어주거나 잔치를 베풂으로써 지위를 높일 수 있었다.
10개 씨족은 땅과 하늘을 나타내는 2개의 집단으로 나누어졌다. 이중 땅에 속하는 집단으로 분류된 씨족들은 전쟁·식량공급과 관련된 의식을 맡은 반면, 하늘을 상징하는 집단에 포함된 씨족들이 담당한 의식은 초자연의 힘을 구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전체 부족이 여름 들소 사냥이나 이주 기간에 야영할 때는 부족의 조직을 상징하는 큰 원(圓) 모양으로 천막들을 배치했다. 다른 평원 인디언과 마찬가지로 전투에서 적에게 해를 입히거나 적진에 들어가 적의 시체를 손상시키는 경우 또는 적진에서 길들인 말을 빼내오는 경우에 특별 훈장을 주었다. 반면에 적을 죽이거나 머리가죽을 벗기는 것은 이에 비해 하찮은 전공으로 여겼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