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출처 다음백과

오르딘 나시초킨

다른 표기 언어 Afanasy Lavrentyevich Ordyn-Nashchokin
요약 테이블
출생 1605경, 러시아 프스코프
사망 1680/81, 프스코프 근처 상트이반 수도원
국적 러시아

요약 러시아의 정치가·외교관.

차르 알렉세이(1645~76 재위)의 외교 담당 수석고문을 지냈다. 소지주의 아들로 태어나 상대적으로 세계시민주의적인 분위기가 강했던 프스코프에서 훌륭한 교육을 받고 자랐다. 차르 미하일(1613~45 재위)의 치세 때 러시아와 스웨덴의 국경선 문제를 타결지은 외교업무에 참여했으며 유능한 행정관으로서 명성을 쌓았다.

1654년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왕국을 상대로 한 전쟁에서 리투아니아 및 리보니아와 접한 러시아 국경선을 성공적으로 방어했다(→ 러시아-폴란드 전쟁). 폴란드와 강화가 이루어짐으로써 알렉세이는 1656년 스웨덴을 상대로 한 전투에만 집중할 수 있었다. 이후 오르딘 나시초킨은 드비나 강에 면한 점령지인 코켄하우센의 지사(voyevoda)에 임명되었고 곧이어 러시아가 점령한 모든 리보니아 영토의 실질적인 통치자가 되었다.

1658년 스웨덴과 휴전을 성사시킨 그는 러시아가 발트 해에서 세력확대 정책을 밀고나가야 한다고 역설하면서 알렉세이에게 우크라이나를 잃는 한이 있더라도 폴란드와 새로이 시작한 전쟁을 끝낼 것을 강력히 주장했다. 그러나 알렉세이는 오르딘 나시초킨의 계획을 무시하고 1661년 스웨덴과 카르디스 화약을 맺었는데 이로써 전쟁 전의 영토분할 상태가 회복되었으며 폴란드와의 전쟁을 계속했다. 폴란드와의 전쟁은 1666년 알렉세이가 프스코프의 지사(1665년부터 재임)직에 있던 오르딘 나시초킨을 불러들여 폴란드와의 평화조약을 성사시키도록 함으로써 종결되었다.

오르딘 나시초킨과 폴란드인들은 안드루소보 휴전(1667. 1)에 합의했으며 그에 따라 러시아는 키예프 시와 주변지역뿐만 아니라 드네프르 강 동편의 우크라이나를 차지했다. 외교적 성공을 거둔 데 따라 그는 보야르로 신분이 상승되었으며 외무장관이 되었다. 또한 우크라이나 관구를 포함한 몇몇 관구의 관할책임을 맡기도 했다.

알렉세이의 수석고문 역할을 하면서 그는 외교정책에 관여했을 뿐만 아니라 서유럽을 러시아의 발전모델로 삼을 것을 주장했는데 이는 장차 황제로 즉위하게 되는 표트르 1세 대제(1682~1725 재위)에게 나아갈 방향을 예시해준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 또 러시아 상인들을 외국과의 경쟁과 국내의 관료제도로부터 보호육성하기 위해 무역조례를 공포했으며(1667) 페르시아 및 중앙 아시아와의 교역을 촉진시키고 조선업에 대한 관심을 진작시켰다.

이러한 활동에도 불구하고 그는 줄곧 발트 해 지역으로의 팽창을 러시아 외교정책의 주요목표로 간주하고 폴란드와의 우호관계를 선호함에 따라 알렉세이와 갈등을 빚게 되었다. 폴란드와 우호관계를 유지하려는 정책은 우크라이나의 나머지 영토에 대한 지배권 장악 가능성을 배제시키는 것이었다. 이에 알렉세이는 1669년 그를 우크라이나 관구에서, 1671년에는 외무부에서마저 축출시켰다. 1672년 2월 그는 수도사가 되기 위한 서원을 했는데 1679년 폴란드와의 협상에 참여함으로써 잠시 속인으로서의 활동을 재개하기도 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