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출처 다음백과

영어

다른 표기 언어 English language , 英語

요약 전세계 6대륙에서 널리 사용되는 언어. 영어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한다. 영국제도·북아메리카·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제1언어로, 인도대륙·아프리카·동남아시아에서는 제2언어로 사용되고 있다.영어는 비교적 어형변화가 적은 분석언어이고 한 낱말이 다른 문맥에서 다양한 품사로 쓰이는 등 기능이 다양하게 변할 수 있으며, 다른 언어를 자유롭게 받아들이고 복합어·파생어를 쉽게 만들 수 있다. 강세 변화에 따라 문장이나 어구의 의미가 달라지며, 억양은 문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영어 자모는 라틴 문자에서 23개를 받아들이고 W, J, V를 추가해서 26개이다. 철자법은 대부분 15세기 철자법을 토대로 하고 있으나 이후 발음은 상당히 달라졌다.영어는 프랑스어로부터 큰 영향을 받았는데, 의복·음식·정치·문학·예술과 관련된 많은 용어들이 프랑스어에서 유래했다.

영어

헤이리 영어마을,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법흥리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영국제도·북아메리카·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제1언어로, 인도대륙·아프리카·동남아시아에서는 제2언어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영어 사용자는 대체로 세 부류로 나누어진다. 첫째는 영어를 모국어로 물려받은 경우, 둘째는 주로 두 언어를 사용하는 사회에서 제2언어로 영어를 습득하는 경우, 셋째는 교육·직업상 필요한 수단으로 영어를 배우거나 또는 국제적인 의사소통수단으로 사용하는 경우이다(미국,캐나다,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남아프리카 공화국).

영어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므로 아이슬란드에서부터 인도에 이르는 유럽과 서아시아 지역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언어들과 관련되어 있다.

인도유럽 조어(祖語)라고 불리는 조상언어는 대략 5,000년 전 남동 유럽 평원지역에 흩어져 살았을 것으로 추정되는 유목민들의 언어였다. 이 조상언어로부터 파생된 언어군 중 하나인 게르만어를 학자들은 지역에 따라 보통 세 집단으로 분류한다. 동부지역에 속하는 것으로는 부르군트어·반달어·고트어가 있는데 이들은 모두 사어(死語)가 되었다. 북부지역 게르만어에는 아이슬란드어·노르웨이어·스웨덴어·덴마크어가 속한다.

서부지역 게르만어에는 독일어·네덜란드어·프리지아어·영어가 포함된다. 영어와 밀접한 관계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독일어는 게르만어의 매우 정교한 굴절체계를 영어보다 훨씬 잘 보존하고 있다. 프리슬란트의 네덜란드 지역과 슐레스비히 서부해안에 인접한 섬주민들이 사용하는 프리지아어는 근대영어와 가장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지난 1,000여 년 동안 거의 변하지 않은 아이슬란드어는 그 문법구조에 있어서 고대영어와 가장 유사한 살아 있는 언어이다.

영어는 비교적 어형변화가 적은 분석언어이다(굴절). 반면에 대부분의 유럽 언어들, 이란 언어들, 북부인도언어들의 조상언어인 인도유럽 조어는 어형변화가 많은 종합언어이다. 수천 년이 지나는 동안 영어는 어형변화의 대부분을 상실했으나, 다른 유럽 언어들은 상대적으로 많은 어형변화들을 보존하고 있다.

사실상 유럽 언어들 중에서 한정사와 비교의 정도를 나타내는 어미들을 제외하고 형용사가 분명한 어미를 갖지 않는 언어는 영어뿐이다. 영어의 또 하나의 특징은 기능이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한 낱말이 상이한 문맥들에서 다양한 품사로 쓰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book'이라는 낱말은 'book review'(서평)에서는 형용사로, 'read a book'(책을 읽다)에서는 명사로, 'book a room'(방을 예약하다)에서는 동사로 쓰이고 있다.

유럽의 다른 언어들은 영어보다 더 많은 굴절어미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런 특징이 없다. 예를 들면 프랑크푸르트 도서박람회를 영어로 표현하면 'Frankfurt Book Fair'이지만, 독일어에서는 지명에 접미사 '-er'가 붙어야 하며 수식어와 명사는 하나의 복합명사로 합해져야 하므로 'Frankfurter Buchmesse'가 된다.

프랑스어에서는 2개의 전치사를 포함하는 구절을 구성하는 외에 다른 표현방식은 선택할 수 없다. 그러므로 'Foire du Livre de Francfort'가 된다. 3번째의 특징은 어휘의 개방성으로, 영어는 다른 언어들로부터 낱말을 자유롭게 받아들이며 복합어와 파생어를 손쉽게 만들 수 있다.

영국에서는 영국공식발음(British Received Pronunciation/RP)이 교육받은 사람들의 일상언어이다.

미국에서는 흔히 위대한 아메리카어로 알려진 내륙북부어가 공식적으로 통용된다. 물론 두 나라에서는 다른 발음들도 허용되고 있다. 영국공식발음과 미국 내륙북부어 사이에는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① 미국영어에서는 일부 모음들 뒤에 반자음인 활음(滑音)이 뒤따라 나온다. ②'cod', 'box', 'dock'에서 모음은 영국영어에서는 'aw'처럼, 미국영어에서는 'ah'처럼 발음된다.

③'but', 'cut', 'rung'의 모음은 미국영어에서는 중설모음이지만, 영국영어에서는 전설모음이다. ④ 미국영어의 'bath', 'bad'와 영국영어의 'bad'는 그 모음의 소리가 동일하지만, 영국영어의 'bath'에서는 모음이 마찰음인 s, f, th('thin'의 경우) 앞에 위치하기 때문에 'ah'처럼 발음된다. ⑤ 영국영어에서는 후설고모음 앞에 t, d, n 등이 나오면 그 사이에 활음(자음의 성질을 가진 y)이 삽입되나(예를 들면 'tulip', 'news'), 미국영어에서는 생략된다.

24개 자음은 6개의 파열음 p, b, t, d, k, g와 마찰음 f, v, th('thin'의 경우), th('then'의 경우), s, z, sh('ship'의 경우), zh('azure'의 경우), h와 2개의 마찰음 ch('church'의 경우), j('jam'의 경우), 비음인 m, n, ng('young'의 경우), 설측음 l, 권설음 r, 반모음 y, w로 구성되어 있다.

미국영어와 영국영어의 자음은 다음 두 경우를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발음된다. 첫째, r가 모음 뒤에 나올 경우, 영국영어에서는 생략되지만 미국 영어에서는 발음이 된다. 둘째, 두 모음 사이의 t는 영국영어에서는 'top'의 t처럼 발음되나 미국영어에서는 d 소리에 더 가깝다.

영어는 제1강세, 제2강세, 제3강세 및 무강세의 4단계 강세를 가진 명백한 강세언어이다.

강세의 변화에 따라 문장이나 어구의 의미가 달라지기도 한다. 다른 언어들에 비해 영어의 강세는 예측하기 어렵지만 뒤에서 3번째 음절에 제1강세가 오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equanínity, longitúdinal, notoríety 같은 5음절 낱말에서는 명백한 현상이다. 그러나 bizárre, critíque, hotél 같은 차용어에서는 프랑스어의 강세가 그대로 유지된다.

피치, 즉 음의 높낮이에는 하강음·상승음·하강-상승음이 있다. 마찬가지로 피치에 포함되는 낱말의 어조는 그 낱말의 의미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문장의 어조는 억양이라고도 하는데, 특히 문장 에서 중요한 구실을 한다. 하강억양은 완결된 진술문과 명령문, '예'나 '아니오'를 요구하는 일부 의문문에 사용된다. 상승억양은 조건부의 진술문이나 공손한 요구문, '예'나 '아니오'로 대답할 수 있는 일부 의문문에 사용된다.

3번째 유형인 하강-상승억양은 양보나 대조의 뜻을 내포하는 문장에 쓰인다. 미국식 억양은 영국식보다 덜 단조롭지만 그 음의 영역은 좁은 편이다. 영어가 사용되는 어디에서나 그 지역방언들은 독특한 억양유형을 보인다.

근대영어에서 명사·대명사·동사는 어형변화를 하지만 형용사·부사·전치사·접속사·감탄사는 변화하지 않는다(굴절). 영어 명사의 복수형은 대부분 -(e)s이고, 7개 명사는 변모음 복수형(예를 들면 man/men)을, 3개는 -en의 복수형 어미(예를 들면 ox/oxen)를 가지며, 일부는 변화하지 않는다(예를 들면 deer). 7개의 인칭대명사 가운데 5개는 주격과 목적격의 형태가 다르다.

영어 동사는 복잡하게 변하지 않는다. 규칙동사와 약변화동사는 4가지 형태를, 강변화동사는 5가지 형태를, to be는 8가지 형태를, t나 d로 끝나는 일부 동사는 3가지 형태를 가질 뿐이다.

어형변화(굴절) 외에도 영어는 2가지 중요한 형태학적(구조적) 변화인 접사첨가와 낱말합성, 2가지 보조적 변화인 역성(逆成)과 혼성(混成)을 보인다. 낱말에 붙는 형태소인 접사는 접두사(예를 들면 pre-, dis-)같이 낱말의 앞에 오거나, 접미사(예를 들면 -able, -er)같이 낱말 뒤에 온다.

접사에는 영어 고유의 것(over-, -ness),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것(hyper-), 라틴어에서 온 것(-ment) 등이 있다. 그리스어와 라틴어는 영어에 거의 완전히 동화되어 같은 낱말 안에서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영어에서는 접사가 다양하게 활용되는데, 서로 다른 접사들이 같은 뜻을 가지거나 하나의 접사가 여러 가지 뜻을 갖는 경우도 많다. 또한 접미사가 접두사보다 어간에 더욱 밀착하며, 접미사가 어간에 붙는 것은 전적으로 우연이지만 일단 붙기만 하면 영구적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나의 접미사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접미사 -er는 'worker, driver, hunter' 같은 낱말들에서는 행위자를 나타내며, 'chopper, harvester, roller'에서는 도구를, 'Icelander, Londoner, Trobriander'에서는 거주자를 나타낸다. 그리고 낱말들의 기본적 개념과 연결되는 사물들이나 행위를 지시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breather는 'pause to take breath'(잠깐 동안의 휴식)라는 뜻이며, diner는 'dining car on a train'(식당차), fiver는 'fivepound note'(5파운드 지폐)를 뜻한다. 'disclaimer, misnomer, rejoinder'(모두 프랑스어에서 유래) 같은 낱말들에서 접미사는 동사가 표현하는 행위의 단 하나의 측면을 나타낸다.

이것은 또한 용례에 따라 변하기도 한다. 이를테면 'writer'는 사람을 가리키지만 'typewriter'는 기계이다. 'computer'는 처음에는 사람과 기계를 동시에 지칭했으나 전자장치의 발명과 광범위한 보급에 따라 이제 더이상 사람을 지칭하지 않게 되었다.

합성은 새로운 낱말을 만들기 위해 2개의 독립된 형태소를 결합시키는 것을 말하는데, 합성된 새로운 낱말은 음운조직·강세·연접에 있어서 이전의 형태소들과 달라지기도 한다. 낱말합성은 합성어를 이루는 독립 형태소 사이의 상관관계에 따라 5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① 앞의 명사가 뒤의 명사를 수식하는 합성어(예를 들면 cloverleaf, beehive, vineyard), ② 하나의 명사에 행위자 명사(동사에다 행위자 접미사가 결합된 것)가 덧붙여진 합성어(예를 들면 icebreaker, landowner, timekeeper), ③ 동사와 목적어가 결합된 합성어(예를 들면 pastime, scarecrow, daredevil), ④ 한정형용사와 명사가 결합된 경우(예를 들면 bluebell, grandson, shorthand), ⑤ 명사와 현재분사로 이루어진 경우(예를 들면 fact-finding, heartrending, life-giving) 등이다.

접사첨가와 반대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역성은 파생어가 아닌 낱말을 파생어로 오해하여 그 낱말에서 접사로 여겨지는 형태소를 떼어내고 새로운 낱말을 유추하여 만드는 것이다. 'to edit'와 'to act'라는 동사는 각각 'editor'와 'actor'라는 명사에서 만들어진 낱말들이다. 혼성은 두 부류로 나누어진다. ①'bang'과 'smash'라는 2개의 낱말을 합하여 'bash'라는 새로운 낱말을 만드는 것으로 합체라고 한다. ②'motor cavalcade'를 줄여 'motorcade'로 쓰는 경우로 압축이라고 한다. 그리고 'advertisement'를 'ad'로 표기하는 것과 같은 간편한 축약들이 점점 더 널리 사용되는 추세이며, 그 원래형과 나란히 사전에 수록된다.

예를 들면 exam, gym, lab, lib, op, spec, sub, tech, veg, vet 같은 것들이다.

문장은 단문·중문·복문으로 나누어진다. ① 단문은 하나의 절과 술어로 이루어진다. "John knows this country." ② 중문은 2개 또는 그 이상의 대등한 절들로 이루어진다.

"John has been here before, and he knows this country." ③ 복문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주절에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종속절들이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John, who has been here before, knows this country." 또는 "Because he has been here before, John knows this country." 단문으로 이루어진 서술 긍정문은 크게 2가지 유형으로 분류되며, 각 유형은 또한 5가지 하위유형으로 세분된다. 동사와 보어는 함께 술어를 이루는데, 여기에서 '보어'는 전통문법학자들이 말하는 보어와 목적어를 함께 지칭한다.

문장1에서 보어는 타동사의 직접목적어이다.

문장2에서는 'is'라는 의미 없는 연결사에 의해 주어와 술어명사가 연결된다. 3의 문장에서는 'becomes'와 같은 의미 있는 연결사에 의해 주어와 술어명사가 연결된다. 문장4에서는 동사와 서술형용사가 나오며, 문장5에서는 주어 다음에 동사와 서술과거분사가 온다. 즉 표1에서 각 문장은 주어·동사·제1보어·제2보어의 4가지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표2의 문장6에서 제1보어와 제2보어는 전치사가 없는 간접목적어와 그 뒤에 따라나오는 직접목적어로 구성된다.

문장7에서는 직접목적어와 동격명사가 나란히 배열된다. 문장8에서는 직접목적어와 서술형용사가 나오며, 문장9에서는 직접목적어와 서술과거분사가, 문장10에서는 직접목저어와 서술부정사가 나온다.

표에 예시된 10가지 문장들에서 낱말을 더하거나 빼지 않고 낱말의 순서만 바꾸어도 대개의 경우 문장의 의미가 달라진다. 10가지 문장들을 세밀히 검토함으로써 단어배열의 중요성을 실감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문장6에서 제1보어와 제2보어의 위치를 바꾸고 'to'를 첨가하여 'John gives a ring to Mary'라고 할 수 있지만, 'John gives a ring Mary'라고 하지는 않는다.

'explain'과 'say' 같은 동사들이 나올 때는 간접목적어 앞에 반드시 'to'가 와야 한다.

형용사를 지배하는 통사규칙은 명사나 동사의 그것보다 엄격하지 않다. 하나 이상의 형용사가 명사를 수식할 때 그 형용사들은 한정사, 수량·속성을 나타내는 형용사, 크기·모양·질감을 나타내는 형용사, 색깔·재료를 나타내는 형용사, 수식명사, 주요명사 순으로 배열된다.

부사의 위치는 대체로 형용사보다 더 유동적이며 애매하다. 전치사는 말 그대로 명사 앞에 위치하지만 예외적인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the whole world over'는 전치사가 명사 뒤에 나오는 경우이다. 영어는 통사규칙이 느슨하기 때문에 서툴게 말하기 쉬운 언어이다. 근대영어의 어휘 가운데 약 절반은 게르만어(고대영어·스칸디나비아어) 계통이고, 나머지 절반은 이탈리아어나 로망스어(프랑스어·라틴어) 계통이다.

또한 과학용어들은 그리스어에서 대부분 차용했고 그밖에도 수많은 언어들로부터 어휘를 빌려왔다. 대부분의 인칭대명사, 모든 조동사, 대부분의 간단한 전치사, 모든 접속사 그리고 거의 모든 수사 등을 비롯하여 기본개념과 사물을 지칭하는 용어는 거의 모두 고대영어, 즉 앵글로색슨어에서 유래했다. 다수의 보통명사·형용사·동사는 스칸디나비아어에서 유래했으며, 그밖의 일부 낱말들은 스칸디나비아어나 앵글로색슨어에서 온 것이다.

영어는 프랑스어로부터 큰 영향을 받았다.

의복·음식·정치·문학·예술과 관련된 많은 용어들이 프랑스어에서 왔기 때문이다. 숙련된 공예가와 관련된 낱말들은 대개 프랑스어에서 유입된 반면, 기능공과 관련된 낱말들은 대개 앵글로색슨어에서 유래했다. 같은 뜻을 가진 프랑스어와 영어의 어휘를 서로 비교해보면 프랑스어가 좀더 지적이고 추상적인 반면, 영어는 좀더 인간적이고 구체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영어에 들어와 있는 다수의 그리스어 합성어와 파생어는 그에 상응하는 라틴어 합성어와 파생어를 갖고 있는데, 이 둘 사이의 의미는 비슷한 경우도 있지만 상당히 다른 경우도 있다.

영어는 라틴 문자에서 23개의 자모를 받아들였으며, 여기에 W, J, V를 추가시켰다. 영어의 철자법은 대부분 15세기 철자법을 토대로 하고 있으나 이후의 발음은 상당히 달라졌으며, 17~18세기에 고정된 철자법이 채택되었으나 그후에도 약간의 변화가 있었다. 영어 철자법을 개정하려는 시도는 계속되어왔으며, 특히 20세기에 와서는 많은 시도가 행해졌다.

영어사는 5~6세기에 주트족·앵글족·색슨족의 브리튼 이주로부터 시작된다.

브리튼에 독립왕국들이 세워진 시기와 노섬브리아어·고대영어의 방언들이 발달한 시기는 대체로 일치한다. 노섬브리아어는 9세기에 바이킹족들이 쳐들어와 브리튼을 파괴하면서 문화적 주도권이 웨식스의 웨스트색슨 왕국으로 넘어갈 때까지 우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1066년 노르만 정복으로 고대영어의 4가지 방언은 동등한 문화적 위치에 놓여져 독자적으로 발전할 수 있게 되었다.

그결과 웨스트색슨어는 우월권을 상실했으며 문화의 중심은 차츰 런던으로 옮겨갔다. 이 중세영어 시기 동안 노섬브리아 방언은 스코틀랜드어와 북부방언으로 갈라졌고, 메르시아어는 동부와 서부 미들랜드어로 발전했다. 영어가 당시 대륙에서 쓰이던 카롤링거 왕조에서 사용하던 서체를 채택하고 철자법의 변화를 가져오게 된 것도 노르만 정복이 낳은 또 하나의 결과였다(카롤링거 미너스큘). 노르만 정복 이후 1세기 동안 영어는 프랑스 북부의 여러 방언에서 많은 차용어를 받아들였으며, 헨리 2세(1154~89 재위) 시대에 영국이 프랑스 남서부로 그 지배권을 확대함에 따라 프랑스 남부방언들로부터도 많은 영향을 받았다.

중세영어가 근대영어로 넘어가기 시작한 것은 15세기초였다. 15세기에는 3가지 중요한 발전이 있었는데, 그것은 런던 영어의 부상, 인쇄술의 발명, 신학문의 보급이었다. 잉글랜드의 문예부흥은 외국어, 특히 그리스어와 고전 라틴어를 이해할 수 있는 많은 학자들을 배출했다.

언어에 대한 그들의 개방적 태도로 인해 수많은 낱말들이 영어에 유입될 수 있었던 것이다. 학자들은 근대영어의 출발을 대개 1500년으로 본다. 1660년 잉글랜드에서 왕정복고가 이루어진 이후 50년 동안 영어를 표준화하기 위해 학술원을 세우려는 시도가 여러 차례 있었으나 모두 실패로 돌아갔다. 그러나 18세기에는 영어에 통일성을 부여하는 몇 권의 문법책이 발간되었다.

특히 드라이든스위프트에 의해 영어는 완숙한 단계에 도달하게 되었으며, 학술원을 건립하려던 시도의 실패는 새뮤얼 존슨〈영어사전 A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1755)과 로버트 로우스의 〈문법 Grammar〉(1761)에 의해 보충되었다.

〈영어사전〉을 만들면서 존슨은 당대의 런던에서 사용되던 표준영어와 필립 시드니 경(1554~86)을 모범으로 하는 명망 있는 작가들의 일상적인 어법을 그 기준으로 삼았다. 이러한 노력들 덕분에 이후 문법학자들과 학자들의 저서가 크게 늘어나게 되었다.

영국제도에서는 수많은 영어 방언들이 사용되고 있다. 웨일스·스코틀랜드·아일랜드 방언은 기층언어인 켈트어에서 강한 영향을 받았다. 미국에는 3가지 방언이 있는데, 그것은 대서양 연안지역을 따라 18개의 하위방언으로 분명히 구분된다.

그러나 서쪽으로 갈수록 방언들 사이의 경계는 점점 희미해진다. 캐나다와 미국의 국경은 언어경계선과 전혀 일치하지 않는다. 캐나다의 국경지방에서는 미국영어가 강한 영향을 주고 있지만, 해안지방에서는 거의 아무런 영향도 느낄 수 없다. 오스트레일리아 영어는 오스트레일리아 주민들의 언어를 말한다. 이 영어의 많은 낱말들은 그 뜻이 바뀌었으며, 오스트레일리아의 환경을 표현하기 위해 많은 원주민어가 차용되었다.

인도에서는 영어가 현대어의 대체어 또는 공용어로 쓰이고 있으며, 학문분야와 기술, 교육받은 사람들의 주요언어로 사용되고 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영어가 공통 네덜란드어와 함께 공식언어로 통용되고 있으며 공통 네덜란드어로부터 많은 낱말들을 차용했다. 영어는 또한 사하라 사막 남쪽의 많은 국가들에서 여러 언어와 더불어 공용어로 쓰이고 있으나 강력한 토착어와 경쟁관계에 있는 경우도 종종 있다.

주어동사보어
1.Johnknowsthis country
2.Scienceisorganized knowledge
3.Elizabethbecomesqueen
4.The captainfallssick
5.Nothingpassesunobserved
단문-제1유형
주어동사제1보어제2보어
6.JohngivesMarya ring
7.The sailorsmakeJohncaptain
8.Youhave keptyour recordclean
9.The driverfindsthe roadflooded
10.Wewantyouto know
단문-제2유형

S. Potter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