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출처 다음백과

알칼로이드의 생물학적 분석

다른 표기 언어

목차

  1. 생합성
  2. 비생체 합성

생합성

알칼로이드는 아미노산이 주원료이다.

1917년에 14C를 아미노산에 넣어 추적하여 생합성 과정을 처음으로 밝혔다.

비생체 합성

최초의 시험관적 합성은 수용액에서 숙신디알데히드와 메틸아민, 아세톤디카르복시산을 반응시켜 알칼로이드인 트로피논을 합성한 것이다. 비생체 합성은 주로 상온의 중성 수용액에서 합성한다. 테드라히드로하르만과 파파베린은 다음과 같이 합성한다.

① 표지물질의 사용:14C를 사용해 가설을 확인 및 보완할 수 있다. 1912년에 글루탐산과 오르니틴에서 니코틴이 만들어진다는 것을 알아냈다. 아나바신은 리신을 원료로 하며, 티로신은 식물세포에서 도파라고 하는 물질로 변환된 후 파파베린·모르핀·나르코틴·테바인 등에 2mol(몰)씩 들어간다. 노르로다노소린과 레티큐린에는 2개의 도파가 축합되어 있다. 이처럼 아미노산은 다양한 분해대사물로 된다.

② 특수한 경우:메바론산은 제라니올·로가린·스카탄틴의 전구물질이며, 코리달린과 프로토핀의 메틸기는 메티오닌에서 온다. 테트라히드로팔마틴은 탈수소반응 후 고리형성반응으로 만들어진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