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출처 다음백과

아카드어

다른 표기 언어 Akkadian language 동의어 아시로-바빌로니아어, Assyro-Babylonian

요약 지금은 사라진 북부변방어군에 속하는 셈어.
Accadian, Assyro-Babylonian이라고도 함.

BC 3000~1000년에 메소포타미아 지방에서 사용했다. BC 2334~2279년경에 집권한 아카드의 사르곤 왕 시대에 지중해에서 페르시아 만에 이르는 지역에 걸쳐 널리 쓰였다. BC 2000년경까지 아카드어가 메소포타미아 남부의 구어로서 수메르어를 대신하여 쓰였으나 종교 문헌의 문어로는 수메르어가 계속 쓰였다.

같은 무렵에 아카드어는 메소포타미아 북부에서 쓰인 아시리아 방언과 메소포타미아 남부에서 쓰인 바빌로니아 방언으로 나누어졌다. 처음에는 아시리아 방언이 더 많이 쓰였으나, 점차 바빌로니아 방언이 이것을 대체하여 BC 9세기 무렵에는 바빌로니아 방언이 중동의 링구아 프랑카(국제혼성어)가 되었다. BC 7~6세기에 아람어가 점점 구어와 문어에서 바빌로니아어를 대신하기 시작했고, 그후 바빌로니아어는 수학·천문학 및 기타 학문을 위한 글 등에는 여전히 쓰였으나 1세기 무렵에 와서는 완전히 사라지고 말았다. 학자들은 19세기에 와서야 아카드어를 판독할 수 있었다.

수메르의 설형문자에서 발전하여 설형문자 형태로 표기하는 아카드어에는 약 600개 낱말과 음절기호가 있다. 이 언어의 음운체계에는 20개 자음과 8개의 모음이 있는데, 모음에는 장모음과 단모음으로 각각 소리나는 a, i, e, u가 있다. 명사에는 주격·소유격·대격의 3가지 격과 단수·양수·복수의 3가지수, 남성형·여성형의 2가지 성이 있다.

여성은 어간에 접미사-t나 -at를 붙이므로 남성형과 구별된다. 동사에는 과거와 현재·미래의 2가지 시제가 있다. 1921년 시카고대학교 동양학연구소의 학자들이 아카드어 표준사전을 편찬하기 시작하여 22권으로 계획된 사전이 1990년대 까지 거의 대부분 출간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