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출처 다음백과

시에차노버

다른 표기 언어 Aron J. Ciechanover
요약 테이블
출생 1947. 10. 1, 이스라엘 하이파

요약 이스라엘의 생화학자.

시에차노버는 2004년 아브람 헤르슈코, 어윈 로즈와 함께 노벨화학상을 공동수상했다. 이들은 살아있는 유기물 세포가 원하지 않는 단백질을 솎아내는 메커니즘을 발견했다.

시에차노버는 1974년 예루살렘히브리대학교 하다사의과대학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받았고, 1981년 테크니온이스라엘 기술연구소(공과대학)에서 이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같은 학교에서 헤르슈코의 지도를 받았다. 1977년 시에차노버는 이스라엘공과대학교 교수로 취임했고, 여러 학술 관련 직위를 역임했다.

1970년대 말과 1980년대 초에 걸쳐 시에차노버, 헤르슈코, 로즈 등 세 사람은 필라델피아의 폭스체이스암센터에서 함께 일하면서 훗날 노벨화학상 수상을 안겨준 연구의 상당부분을 이루어냈다. 그들은 세포가 더 이상 쓸모없게 된 단백질을 퇴화 혹은 파괴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보여주었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유비퀴틴(ubiquitin, "모든 곳에 있다."라는 뜻을 가진 라틴어 'ubique'에서 온 용어로서, 이 과정이 매우 다양한 세포와 유기체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이라는 하나의 분자가 파괴대상인 하나의 단백질에 달라붙어 그 단백질을 프로테아좀(proteasome, 단백질을 아미노산으로 분해하는 강력한 효소 주머니)에 이르게 한다. 프로테아좀의 외막은 유비퀴틴이 붙어 있는 단백질에만 작용한다. 유비퀴틴은 프로테아좀이 단백질 안으로 들어오기 전에 그 단백질과 분리되어 다시 사용된다.

또한 시에차노버, 헤르슈코, 로즈 등은 유비퀴틴에 의해 매개된 단백질 분해가 다른 중요한 생화학 과정을 돕는다는 것도 밝혀냈다. 이러한 생화학과정에는 세포분열, 손상된 DNA의 치료, 그리고 유전자가 자신의 코드에 따라 단백질을 제조하는 과정인 유전자 전사(轉寫, gene transcription) 등이 포함된다. 낭포성 섬유증과 같은 질병은 단백질 퇴화체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때 발생하는데, 세 과학자들은 위와 같은 발견이 그러한 질병의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사용될 수 있기를 희망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