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요약 서로 다른 2종(種)의 생물간에 이익을 주고받는 관계.
보다 넓은 개념인 공생과 같은 의미로 다루어져왔다.
상리공생체제는 대부분 생명유지에 필요한 조건이 매우 다른 생물체들 사이에서 발달된다. 소의 소화관에 살면서 소가 섭취한 식물의 소화를 돕는 반추위내세균과 소 사이의 협력이나 질소고정세균과 콩과식물 사이의 협력도 상리공생의 한 예이다. 나무뿌리와 특정 균류 사이의 협력도 대개 상리공생적이다(→ 균근).
흰개미의 장 내에 서식하는 편모가 있는 원생동물과 흰개미는 서로 철저히 의존하는 절대상 리공생을 나타낸다. 원생동물은 흰개미가 섭취한 목질을 소화하는데, 자연조건하에서는 상대 방 없이는 둘 다 살아 남지 못한다. 유카나방과 유카식물은 서로 종속적으로 의존한다. 나방 은 유카의 씨 꼬투리에 알을 낳을 때 꽃가루받이를 시켜주며, 대신 부화된 유충은 씨의 일 부를 먹고 살기 때문에 두 생물은 이익을 보게 되는데 유카식물에서는 꽃가루받이가 일어나 고 나방은 유충을 위한 먹이를 제공받는다.
개미의 한 종은 먹이와 살아갈 장소를 위해 아 카시아를 지키는데, 아카시아의 어린잎을 먹는 동물을 개미가 쫓아내어 아카시아가 보호된 다. 그러나 이들 두 종은 서로가 없어도 살아 남을 수 있는데, 이는 임의로 일어나는 상리공 생이나 원시형태의 협력의 예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