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출처 다음백과

브랜디

다른 표기 언어 brandy 동의어 브랜디와인, brandywine

요약 일반적으로 포도로 만든 것을 말하며, 다른 발효 과즙으로 만든 브랜디에는 특정 과일 이름이 붙는다. 음료수로 마시는 브랜디는 알코올 성분이 50% 정도이고 셰리 주, 마데이라 포도주와 그밖에 알코올 성분이 80~95%인 디저트 용 포도주를 강화하는 데 쓰인다. 제품의 품질을 공식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숙성 연수를 별이나 문자로 표시한다.
유명한 프랑스산 브랜디로는 샤랑트·샤랑트마리팀 주에서 생산하는 코냑과 제르 지방에서 생산하는 아르마냑이 있다.
프랑스의 칼바도스와 미국의 애플잭은 발효 사과술로 만드는 사과 브랜디이다. 그밖에 다른 과일 브랜디로는 슬리보비츠, 보로츠크팔린카, 키르슈바서(키르슈), 자두 포도주, 케트슈 등이 있다.

브랜디(brandy)

ⓒ Georgii Shipin/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브랜디란 용어가 단독으로 쓰일 때는 포도로 만든 것을 말하며, 포도주와 다른 발효 과즙으로 만든 브랜디에는 특정 과일 이름이 붙는다. 과일로 만든 백브랜디를 제외한 대부분의 브랜디는 숙성시킨다.

나무로 만든 용기에서 숙성시키면 색이 짙어져 호박색이 되고 파라핀으로 봉한 통이나 토기에서 숙성시키면 본래의 투명한 색을 유지할 수 있다. 캐러멜 용액을 첨가해주면 색이 짙어진다. 음료수로 마시는 브랜디는 알코올 성분이 50% 정도이다. 브랜디는 셰리 주, 마데이라 포도주와 그밖에 알코올 성분이 80~95%인 디저트 용 포도주를 강화하는 데 쓰인다. 다른 증류주와 마찬가지로 일단 병에 담고 나면 품질이 향상되지 않는다.

선적인들은 제품의 품질을 공식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숙성 연수를 별이나 문자로 표시한다. 네덜란드의 브란데웨인('불탄 포도주')에서 이름이 유래했는데, 그것은 증류할 때 열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포도주를 대량 증류하여 브랜디를 제조하기 시작한 것은 16세기부터이다. 일설에 따르면 한 네덜란드 선장이 수송의 편리와 고국에 도착하여 물을 타서 마시려는 생각으로 포도주를 농축시켰으나 나중에는 물의 첨가 없이도 마실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포도주 생산국은 브랜디도 만든다. 유명한 프랑스산 브랜디로는 샤랑트·샤랑트마리팀 주에서 생산하는 코냑과 제르 지방에서 생산하는 아르마냑이 있다. 셰리 생산국인 스페인과 포트와인 생산국인 포르투갈도 브랜디로 유명하다. 그리스의 브랜디에는 설탕이 들어가고 캐러멜로 색을 짙게 한 메탁사와, 무색이며 아니스나 감초로 풍미를 낸 우조가 있다. 캘리포니아에서 주로 생산하는 미국의 브랜디는 특징이 별로 없고 성질이 비슷하다. 페루의 피스코는 머스캣 포도주를 증류해서 만든다. 포도에서 즙을 짜낸 찌꺼기를 증류해서 만드는 브랜디로는 유명한 프랑스 부르고뉴산 오드비드마르와, 이탈리아와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생산하는 그라파가 있다. 이중 그라파는 숙성시키지 않은 자극적인 맛을 가졌다.

프랑스의 칼바도스 지방의 칼바도스와 미국에서 생산하는 애플잭은 발효 사과술로 만드는 사과 브랜디이다. 프랑스의 알자스 지방은 나무딸기를 증류해서 만드는 프랑부아즈와 딸기를 증류시킨 프레즈가 유명하다. 그밖에 다른 과일 브랜디로는 슬리보비츠, 보로츠크팔린카, 키르슈바서(키르슈), 자두 포도주, 케트슈 등이 있다. 슬리보비츠는 유고슬라비아와 그외 발칸 반도의 국가에서 황갈색 자두로 만드는 것이고 보로츠크팔린카는 살구 브랜디로 유명한 헝가리에서 주로 생산한다. 키르슈바서는 알자스·독일·스위스에서 체리로 만든다. 프랑스의 알자스와 로렌에서 생산하는 자두 브랜디에는 노란색 자두로 만드는 미라벨과 푸른색 자두로 만드는 케트슈가 있다. 이들 과일 브랜디는 과일을 으깨는 과정에서 과일의 속씨 기름이 나오기 때문에 쓴 아몬드향을 지닌다.

브랜디는 그냥 마시기도 하지만 식사 후 음료수로 소다수와 섞어서 마신다. 보통 혼합 음료수와 후식의 향미를 돋구기 위해 쓰이며, 크레이프 수제트와 체리 쥐빌레처럼 불을 붙여 먹는 음식에 불꽃 연료로도 쓰인다. 그밖에 다른 종류의 증류주인 리큐어를 만들 때 기본 알코올로 쓰인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