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출처 다음백과

브라지오니스

다른 표기 언어 Bernardas Brazdžionis 동의어 Vyte Nemunelis, Jaunasis Vaidevutis
요약 테이블
출생 1907. 2. 2, 러시아 리투아니아 스테베이켈리아이
사망 2002. 7. 11, 미국 로스앤젤레스
국적 리투아니아

요약 리투아니아의 대표적인 시인·편집자·비평가·아동문학작가. 3번째 시집 <영원한 유대인>에서 독창성을 보였다. 리투아니아어를 가르치고 출판사에서 일하다가, 마이토니스 문학박물관 관장에 임명되었고 제2차 세계대전 때에 리투아니아를 떠났다. 이후 미국에 정착해 <리투아니아어 백과사전>의 세계문학 담당 편집자로, 리투아니아어 문학잡지의 편집장으로 일했다. 그의 시는 신과 신의 섭리에 대한 믿음을 핵심으로 하며, 리투아니아 문학 중 가장 인기있는 작품에 속한다.

리투아니아의 대표적인 시인·편집자·비평가·아동문학작가. 아동문학작품에는 'Vyte Nemunelis'라는 필명을 사용했다. 카우나스대학교에서 리투아니아어와 문학을 공부했고(1929~34), 3번째 시집 〈영원한 유대인 Amžinas žydas〉(1931)에서 독창성을 보였다. 처음 2권의 시집은 고등학교에 다닐 때 쓴 것이다.

리투아니아어를 가르치고 출판사에서 일하다가 1940년 카우나스의 마이토니스 문학박물관 관장으로 임명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날 무렵, 소련군의 점령이 눈앞에 닥치자, 리투아니아를 떠나 독일로 갔다(1944). 1949년 미국으로 이주하여 보스턴에 정착한 뒤, 〈리투아니아어 백과사전 Lietuvių enciklopedija〉의 세계문학 담당 편집자로 일했다. 6년 뒤에는 로스앤젤레스에서 발간되는 리투아니아어 문학 잡지 〈리투아니아 시대 Lietuvių dienos〉의 편집장이 되었다.

폭넓은 시인인 그는 낭만주의에서 사실주의로, 지역적 주제에서 보편적인 주제로 옮아가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 그의 성격은 어떤 때는 서정적이며 잔잔하지만 또 어떤 때는 극적·격정적이다. 문체는 대체로 전통적이지만, 시에서는 전통의 틀을 벗어난 언어를 사용한다. 낱말의 순서는 해체되고, 같은 낱말과 음성이 되풀이하여 나온다.

그의 시에서 핵심을 이루는 것은 신과 신의 섭리에 대한 믿음이다. 리투아니아에서 썼던 초기의 종교시는 성서적 주제를 사용하고 있으며, 전례 언어를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제2차 세계대전중에 리투아니아가 독립을 잃은 뒤의 시는 애국적·인도주의적인 주제로 가득 차 있다. 그의 동시는 리투아니아 문학에서 가장 훌륭하고 가장 인기 있는 작품에 속한다. 또한 그는 리투아니아 문학 선집도 여러 권 편집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