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출처 다음백과

볼리비아와 한국과의 관계

다른 표기 언어

요약 볼리비아와 한국의 외교·경제·문화적 관계. 볼리비아와 한국과의 공식적인 외교관계는 1965년 4월에 시작되었다. 한국은 볼리비아의 연수생 초청 또는 볼리비아에 전문가 파견을 통한 기술교육으로 볼리비아를 지원해 왔다. 양국이 체결한 협정으로는 문화협정, 경제기술협력협정, 투자보장협정, 무상원조기본협정등이 있다. 한국은 태권도 시범공연단의 방문, 퓨전국악 공연, 한복패션쇼 등을 통해 볼리비아에 한국 문화를 전파하고 있다.

목차

  1. 외교
  2. 경제·통상·주요 협정
  3. 문화교류·교민 현황

외교

볼리비아는 1965년 4월에 대사급 외교를 수립한 후 그해 7월에 국교를 수립했다. 한국은 1976년 7월에 주 볼리비아 대한민국 대사관 공관을 개설했다가 1998년 12월에 철수한 후 2008년 9월에 재개설했으며, 볼리비아는 1981년 8월에 주한 볼리비아 대사관을 개설했다가 1999년 5월에 철수한 후 2014년에 재개설했다. 한국은 의약품·컬러 텔레비전 등을 원조해왔다. 볼리비아는 2010년 8월에 에보 모랄레스 대통령의 방한 이후 각 부처 장관의 방한이 이어졌으며, 한국은 1993년 8월에 이상옥 대통령 특사가 파견된 이후 여러 차례 특사 파견과 차관급 방문이 있었다. 한편 볼리비아는 북한과 미수교 상태이다.

경제·통상·주요 협정

한국은 볼리비아의 경제개발을 협력하기 위해 1991년부터 2015년까지 총 3,708만 달러를 지원했다. 2023년 기준 볼리비아의 대한국 수출액은 5억 4,718만 달러, 수입액은 1,906만 달러이다. 주요 수출품은 아연광, 납광, 은광 등이고, 주요 수입품은 자동차, 원자로 및 보일러, 이소시아네이트 및 유기화학품 등이다. 양국이 체결한 협정으로는 문화협정(1971년 9월), 경제기술협력협정(1986년 11월), 투자보장협정(1996년 4월), 외교관·관용여권사증(비자)면제협정(2010년 8월), 무상원조기본협정(2014년 5월), 체육협력기관 간 약정체결(2016년 2월) 등이 있다.

문화교류·교민 현황

2023년 기준 볼리비아에는 498명의 재외동포가 거주하고 있으며, 한국에는 2023년 기준 70명의 볼리비아 국적의 등록외국인이 거주하고 있다. 한국은 1973년부터 매년 볼리비아의 연수생을 초청하거나 또는 볼리비아에 전문가를 파견하여 기술교육을 실시하여 왔다. 볼리비아에 4개의 한글학교가 설립되어 있어 교민과 볼리비아인의 한글교육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 한국은 태권도 시범공연단, 퓨전국악 및 우석대 태권무팀의 공연, 한복패션쇼 등을 통해 볼리비아에 한국 문화를 전파하고 있다.

한국과 볼리비아의 국기

ⓒ MZinchenko/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 외교부
  • 주 볼리비아 대한민국 대사관
  • 한국무역협회 통계
  • ・ 외교부 재외동포 현황(2023년 기준)
  • ・ 법무부 등록외국인 국적별 현황(2023년 기준)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