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출처 다음백과

문학과 예술

다른 표기 언어

요약 월간 문학잡지. 1954년 4월 1일에 창간되었다. 편집 겸 발행인은 극작가 오영진, 편집위원은 월남한 문인 박남수·원응서·김이석 등이었고, 집필자로는 조연현·강소천·김병기·박두진·백철·김춘수·최정희 등 당시 유명한 문인들이 대거 참여했다.

국판 150쪽으로 출발해 최고 220쪽까지 늘렸다. 발행소는 문학과예술사였다. 6·25전쟁 때 종군작가로 결성된 문총구국대 북한지부가 피란지 부산에서 발행하던 〈주간문학예술〉을 이어서 발행했다.

창간호와 제2호는 〈문학과 예술〉이라는 제호로 펴냈으나, 서울로 옮긴 뒤 인쇄소를 얻지 못해 잡지발간을 미루고 있자 당국이 정간령(停刊令)을 내렸다. 그래서 〈문학예술〉이란 제호로 다시 등록하고, 제3호부터 제호를 〈문학예술〉로 바꾸었다. 각 호마다 화가들의 그림을 표지로 삼았고, 한 면을 2단(二段)으로 나누어 편집했다. 여러 장르에 걸쳐 많은 창작작품과 번역작품을 실었으며, 신인배출에도 힘써 시인 박희진·박성룡·신경림 등, 소설가 이호철·선우휘·송병수 등, 평론가 이어령·유종호 등이 이 잡지를 통해 등단했다.

소설에 오영수의 〈어떤 여인상〉(제1호), 염상섭의 〈짖지 않는 개〉(제3호), 김광식의 〈213호 주택〉(제15호), 송병수의 〈쇼리킴〉(제27호) 등과 논문에 최창범의 〈희화정신과 희화적 경향〉(제14호), 백철의 〈뉴 크리티시즘에 대하여〉(제20호), 이봉래의 〈대중문학론〉(제23~24호) 등을 실었다. 1950~60년대 문인들의 활발한 무대가 되었고, 신인을 많이 배출해 6·25전쟁 후 황폐화된 한국문단에 활력을 주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