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요약 항공술에서 식별신호뿐 아니라 조종사에게 자기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고유신호를 보내는 무선국의 장치.
1927년에 시작된 'A-N' 방식은 장파와 중파에서 작동되는데 주로 개인용 경비행기에서는 아직도 사용되고 있다. 항공기에 필요한 유일한 장치는 평범한 전파수신기이다.
무선국은 자신의 안테나 지향성도(指向性圖)의 교번(交番) 로브(lobe)로 국제부호문자인 A(˙―)와 N(―˙)을 송신한다. 인접한 로브들이 겹치는 좁은 방사점에서 서로 다른 모스 부호인 단점(짧은 점)과 장점(긴 점)은 연속음으로 조합되어, 일정한 음을 따라가는 조종사가 무선국을 향해 똑바로 가는지 아니면 멀어지는지 알게 한다. 즉 그가 항로를 벗어나면, 항로로 돌아오기 위해 어떤 방향으로 돌려야 하는지를 그가 듣는 부호로 알게 된다.
현대의 초단파 전(全)방위식 무선표지(VOR)는 1930년경 이후에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었으며, 두 신호를 동시에 모든 방향으로 송신한다. 초단파(VHF)로 작동되므로 더 낮은 주파수의 무선항로표지에 비해 밤낮의 교차, 날씨, 그리고 그밖의 원인들에 의한 교란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 동시에 송신되는 두 신호는 무선국의 방향에 따라 명확하게 변하는 전기적 위상차를 가지므로, 항공기의 특수수신장치가 이 차이를 탐지해 조종사에게 방향을 표시해준다. 거리측정장치(DME)와 함께 사용되는 초단파 전방위식 무선표지는 정기여객기의 기본 유도장치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