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출처 다음백과

목포항

다른 표기 언어 木浦港

요약 전라남도 목포시에 있는 항구.

1897년 10월 개항되었으며, 항내수면적 51㎢인 무역항이다. 내항·북항으로 나뉘어 있으며 기능별로 전문화되어 내항은 크게 여객전용항과 삼학도의 화물전용항으로, 북항은 수산물전용항으로 개발중에 있다.

목포항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남동쪽에 있는 영암반도의 돌출부와 남서쪽의 고하도가 자연방파제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유달산이 바람을 막아 항구로서 유리한 자연조건을 갖추고 있다. 1996년 현재 주요항만시설은 안벽 2,280m, 잔교 11기, 물량장 2,274m, 94척의 접안시설이 있으며, 하역능력 476만 2,000t이다. 입항화물은 총 417만 7,000t으로 연안화물이 68%, 수출입화물이 32%를 차지하며, 주요입항품목은 원유·시멘트·유류·양곡 등이다.

출항화물은 총 28만 5,000t으로 연안화물이 73%, 수출입화물이 27%를 차지하며, 주요출항품목은 육류·감귤류·모래·철재 등이다. 도서지방 주민들의 수송 편의를 위해 연안여객종합 터미널이 설치되어 있다. 정기여객선의 노선으로는 목포-제주 간을 포함하여 42개 항로가 있다.

특히 대불공업단지의 관문역할을 하게 될 공단부두와 연계하여 고하도와 가지도 일대에 신외항을 2011년 까지 건설할 계획이다. 신외항이 건설되면 3,000~2만t급 화물선의 접안이 가능하며, 5,000t급 2척이 동시에 접안할 수 있는 철강부두, 3만t급 컨테이너 부두, 5만t급 액체부두 등의 시설을 갖추게 된다. 중국과의 교류확대로 서해안시대가 개막됨에 따라 발전이 더욱 기대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