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출처 다음백과

라이에증후군

다른 표기 언어 Reye's syndrome

요약 인플루엔자·수두 및 다른 바이러스 감염의 유행 뒤에 어린이들에게 생기는 급성 신경성 질환.

심하면 간에 지방변성이 나타나고 치명적인 뇌부종이 나타날 수 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병리학자 R. D. K. 리가 12년의 연구 끝에 1963년에 처음으로 보고했다.

이 질병이 20세기 후반에 새로 나타난 병인지, 또는 오래된 질병인데 진단이 잘못되어 간과되어온 것인지는 확실치 않다. 이 질병은 보통 18세 이하의 아이들에게 발생한다. 감염된 어린이는 바이러스성 질환 회복기에 메스꺼움·구토·무기력과 혼돈 등의 증상을 보인다. 그뒤 수시간 또는 며칠 안에 졸음·혼동·발작·호흡정지·혼수상태 등이 일어난다. 이 증후군의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으나, 뇌의 미토콘드리아(에너지 대사를 담당하는 세포소기관)에 바이러스가 해를 주어 나타나는 것으로 여겨진다.

라이에증후군은 아플라톡신(aflatoxin)이나 워퍼린(warfarin) 중독 뒤에 나타날 수도 있고 아스피린이나 살리실산 종류의 약을 바이러스성 질병에 사용한 결과로 생길 수도 있다. 1980년대 이후 이 증후군의 발생률이 감소했는데, 이는 이러한 종류의 약 사용을 줄인 덕택이다.

특별한 치료방법이 없기는 하지만 환자의 상태를 조심스럽게 관찰하면서 어떤 불균형 상태가 있을 때 항생제, 인슐린,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약물, 포도당, 이뇨제(利尿劑), 혈청과 질병의 진행을 막는 다른 보조치료 등을 신속히 해서 현재는 환자의 70% 이상이 살아남는다. 대부분 완전히 회복하지만 일부는 뇌에 손상을 입어 고통을 겪는 경우도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