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출처 다음백과

능구렁이

다른 표기 언어 Dinodon rufozonatum rufozonatum
요약 테이블
분류 척추동물 > 파충강 > 뱀목 > 뱀과 > 능구렁이속
원산지 아시아 (대한민국,대만,중국)
먹이 개구리, 두꺼비, 쥐
크기 약 70cm ~ 1.2m
학명 Dinodon rufozonatus
식성 육식
멸종위기등급 낮은위기

요약 뱀과 능구렁이속에 속하는 파충류. 한국과 대만, 중국이 원산지이다. 식성은 육식이고, 개구리와 두꺼비, 쥐를 주 먹이로 삼는다. 크기는 70cm~1.2m 정도이다. 낮은 위기의 멸종위기등급을 받았다. 머리는 넓고 검은색을 띠며, 주둥이의 끝은 둥글다. 몸통에는 비늘이 있는데 대부분 평이하고 종에 따라 줄무늬를 띠기도 한다. 꼬리는 가늘고 뾰족하다. 산란기는 한여름이며 한 번에 8~16개 정도의 알을 낳는다. 한국에서는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는 조짐이어서 보호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목차

  1. 개요
  2. 형태
  3. 생태

개요

파충강 뱀목 뱀과 능구렁이속에 속하는 척추동물. 학명은 ‘Dinodon rufozonatus’이다. 크기는 약 70cm~1.2m로, 꼬리의 길이가 몸길이의 약 1/5를 차지한다. 원산지는 한국과 대만, 중국으로, 한국에서는 서식지가 파괴되고 무분별한 남획이 이루어지면서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세계적으로 10여 종이 있다.

능구렁이

ⓒ Daum 백과사전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형태

크기는 약 70cm~1.2m이고, 꼬리의 길이는 몸길이의 약 1/5이다. 머리는 넓고 검은색이며, 주둥이 끝은 둥글고 꼬리는 가늘고 뾰족하다. 몸통의 비늘은 대체로 평활하고 개체에 따라서는 일부 융기된 줄무늬를 가지는 경우도 있다. 등은 적갈색이며 굵은 띠 모양의 얼룩무늬가 있다.

생태

원산지는 한국과 대만, 중국이고, 주로 일본과 중국, 타이완 등지에 분포하며 인가 근처의 경작지나 산간 지대의 바위가 있는 늪지 주변에 서식한다. 한국의 경우 서식지의 파괴와 무분별한 남획으로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어서 시급한 보호대책이 요구된다. 동작이 느리고 독은 없으나 성질이 사납다. 식성은 육식으로, 쥐와 개구리, 두꺼비, 새알 등을 먹으며 다른 뱀을 잡아먹기도 한다. 산란기는 8월로 약 8~16개의 알을 낳는다. 10월경에 단독으로 땅속에서 동면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