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출처 다음백과

당송팔가문

다른 표기 언어 Tang Sung pa chia wen , 唐宋八家文 동의어 당송팔대가문독본, 唐宋八大家文讀本

요약 중국 당·송대의 고문 명문집(名文集).
(병). Tang Song ba jia wen. (웨). Tang Sung pa chia wen.

보통 청 건륭제(乾隆帝) 때 시문작가 심덕잠(沈德潛)이 편집한 〈당송팔가문독본 唐宋八家文讀本〉을 가리키는데, 정식 명칭은 〈당송팔대가문독본 唐宋八大家文讀本〉이며 모두 30권이다.

이 심덕잠본이 성립되기 전에는 명대 모곤(茅坤)의 〈당송팔대가문초 唐宋八大家文鈔〉와 청대 저흔(儲欣)의 〈당송십대가전집록 唐宋十大家全集錄〉이 있었는데 점차로 〈당송팔가문독본〉에 있는 당대 한유(韓愈)·유종원(柳宗元), 송대 구양수(歐陽修)·소순(蘇洵)·소식(蘇軾)·소철·증공(曾鞏)·왕안석(王安石)을 당송8대가로 부르게 되었다.

심덕잠이 이 책의 서문에서 당·송문에서 한대의 문장으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고 주장한 점에서도 알 수 있듯이, 그는 명대 고문사파(古文辭派)의 "문장은 반드시 진·한대(秦漢代)의 것"이어야 한다는 주장에 어느 정도 공감하고 있는 격조파(格調派)의 창도자였다. 바로 이 점에서 그의 주장은 6조시대에 쇠약했던 6예(六藝)의 뜻을 부흥시킨 한유의 정신을 계승하고자 했던 명대 당송파 모곤의 의도와 반드시 같은 것은 아니다. 심덕잠본은 원래 자신의 고문학습을 위한 명작선이었는데, 60대에 이르러서야 겨우 진사에 합격한 그가 그무렵 다시 손을 보아 발표했다.

〈당송팔가문독본〉이 유행하게 된 것은 그 내용뿐만 아니라 만년에 높은 지위까지 오를 수 있었던 심덕잠의 명성 때문이기도 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