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출생 | 1841. 3. 7, 미국 인디애나 포트웨인 |
---|---|
사망 | 1915. 4. 13, 미주리 캔자스시티 |
국적 | 미국 |
요약 미국의 언론인·편집인·발행인.
미주리 주의 〈캔자스시티 이브닝 스타 The Kansas City Evening Star〉(1880)의 창간을 도왔다. 넬슨은 단지 국내의 유명한 추문 폭로기사만 싣는 것이 아니고 지방 시정상의 부정을 조사해서 기사화하는 데 초점을 둔 선구적인 발행인이었다.
미국 감독교(監督敎) 신자였던 엄한 그의 아버지는 고집 센 넬슨을 노터데임대학에 보냈다. 그는 2년 만에 학교를 그만두고 집으로 돌아왔지만 공부를 계속해 1862년 변호사 자격을 얻었다. 변호사 활동을 하면서 도로건설계약으로 많은 돈을 벌었으나, 그중 상당액을 잃고 민주당 정치활동에 뛰어들었다. 1876년 사무엘 J. 틸던의 인디애나 주지사 선거운동을 했다.
1878년 사무엘 E. 모스와 함께 인디애나 주의 〈포트웨인 센터널 Fort Wayne Sentinel〉을 인수했으나, 1년 반 만에 다시 팔고 캔자스시티로 가서 〈이브닝 스타〉를 창간했다. 넬슨의 지휘 아래 〈이브닝 스타〉는 시정(市政)부패 박멸운동과 시민개혁운동으로 명성을 얻었다.
넬슨은 〈이브닝 스타〉를 미국에서 가장 성공한 신문으로 만들었다. 처음에는 2센트짜리였던 이 신문은 1880년 9월 발행부수가 3,000부였으나 점차 늘어나 1893년에는 5만 부에 이르렀고 1885년 〈캔자스시티 스타 Kansas City Star〉로 그 명칭을 바꾸었다.
1901년 조간신문인 〈캔자스시티 타임스 Kansas City Times〉를 인수해, 두 신문사를 계속 적극적으로 운영했다. 이 두 신문은 미국의 연합통신사로부터 뉴스를 제공받았으며 국내소식뿐 아니라 점차 외신의 비중을 높여나갔다. 그는 자신이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후보자를 지지하면서도 정치적으로는 독립을 지켰으며, 두 신문의 편집 방침에도 그의 독립적인 의지가 반영되었다.
평소 도시의 개선에 관심이 있던 그는 600만 달러 이상으로 추정되는 그의 재산과 신문사를 아내와 딸에게 물려주면서 이들이 죽을 경우 그 유산으로 미술관을 세우도록 했다. 1933년 개관한 '윌리엄 록힐 넬슨 미술관'과 '메리 앳킨스 미술박물관' 건립비용에 이 유산의 일부가 쓰였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