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출처 다음백과

넥타이의 종류

다른 표기 언어

요약 목 또는 깃둘레에 감아서 앞으로 매는 띠 형태의 천.

목차

  1. 애스컷 타이(Ascot tie)
  2. 크라바트(cravate)
  3. 스톡 타이(stock tie)
  4. 포인핸드(four-in-hand)
  5. 보 타이(bow tie)

애스컷 타이(Ascot tie)

영국 런던 근처의 버크셔에 있는 애스컷 경마장에 모인 신사들의 복장에서 연유되어 붙여진 이름이다. 이것은 플록 코트와 모닝 코트에 착용되는 스카프식의 폭이 넓은 타이로, 앞을 핀으로 고정시킨다.

원래 예장용(禮裝用)이었지만 오늘날 스포티한 액세서리로서 스포츠 셔츠 및 와이셔츠 깃 아래를 장식한다.

크라바트(cravate)

널리 유행되기 시작한 것은 17세기경으로 프랑스 군대의 크로아트 병사가 목을 보호하기 위해 두른 천에서 유래했다. 19세기 초기의 남성 복장에서는 모슬린 등의 천으로 목에서부터 얼굴의 절반 정도를 가리울 만큼 높이 감아 올렸다.

스톡 타이(stock tie)

스톡은 크라바트에 이어서 등장한 넥 웨어의 일종이며 견·피혁 등으로 만든 폭이 넓은 넥타이이다. 목에 감아서 끝부분을 앞쪽에서 작게 매거나 혹은 뒤쪽에서 버클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벨벳과 견으로 만든 것은 부인용 칼라로서 이용한다. 이것은 승마를 할 때 착용하는 경우가 많다.

포인핸드(four-in-hand)

19세기 이후 일반 남성들이 애용하는 스타일이며, 넥타이를 맨 곳에서부터 아래까지의 길이가 주먹의 약 4배 정도라는 것에서 그 이름이 유래했다.

보 타이(bow tie)

나비 모양으로 작게 매는 넥타이로서 끝이 네모진 것과 마름모꼴이 있다.

타이를 매는 방법은 레귤러 노트(regular knot)식, 윈저노트(windsor knot)식, 세미윈저 노트(semi-windsor knot)식, 그리고 보 타이(bow tie)식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