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출처 다음백과

기술에 대한 인식과 문제점

다른 표기 언어

요약 어떤 것을 만들거나 어떤 일을 하는 데 필요한 기법에 대한 체계적 연구의 발달과 그로 인하여 발생하는 부작용.

19세기에 도입된 기술은 당시에 지배적이었던 자유방임 경제에 부합하고 부의 폭넓은 분배 실현을 보장하는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이에 대한 반대 목소리도 들렸다. 랄프 왈도 에머슨은 인간은 결국 기술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하게 되고 거꾸로 기술이 인간을 지배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H.G. 웰스는 자신의 초기 소설을 통해 정교하고 예측력있는 기계장치를 제시했음에도 불구하고 서구문명이 진보적 성격을 가졌다는 환상을 포기하게 되었다.

1932년 올더스 헉슬리는 〈멋진 신세계 Brave New World〉라는 책에서 새로운 문명에 대해 아무런 매력을 느낄 수 없다고 말했다.

1975년에 발표된 〈원자로 안전 연구 Reactor Safety Study〉는 경수로 원자로의 경우 수많은 사상자를 낼 사고의 위험이 극히 적다고 결론지었지만, 이 보고서의 불확실한 수치에 대한 비판의 여지는 있었다. 5년 후에 스리마일 섬 2기에서 심각한 사고가 생겼다.

조작의 실수와 밸브 고장으로 원자로 노심의 냉각수가 유출되어, 노심의 일부가 녹고 나머지 부분은 파괴되었다. 방사능 물질이 외부로 퍼져나가지 못하도록 격납구조물이 그 대부분을 막았지만, 1차 원자로 시스템에서 많은 양의 핵분열 산물이 방출되었던 것이다. 이후의 공통된 권고사항의 주된 요지는 원자로조작 책임진, 발전소관리자, 원자력 조절기구가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1986년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 사고는 다시 한번 인간의 역할이 중요함을 입증한 것이었다.

키예프 북부의 발전소에서 무분별한 실험(갑작스런 원자로 운전 중지 후에 얼마나 오랫동안 증기 터빈이 계속해서 작동할 수 있는가에 대한 실험)의 결과로 4개 원자로 중 하나가 폭발하여 불길이 번졌다. 이 원자로에서 약 25%의 방사능 오염물질이 빠져나와 버섯구름을 형성했다. 폭발로 31명이 사망했고, 소련과 그밖의 지역에서 수천 명의 암 환자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핵폐기물 처리 장소를 선택하는 것은 정치적인 문제이자 기술적인 문제이다(→ 방사성폐기물). 핵폐기물 저장소로는 인구가 밀집된 지역이나 활발하게 진행중인 지진대를 피해야 하고, 깊고 건조하면서 동시에 자연적으로 대수층(帶水層:지하수를 품은 다공질의 침투성 지층)으로부터 차단된 암석층을 선택해야 한다.

심각한 토양오염과 수질오염의 또다른 오염원은 신속히 처리할 수 없거나 전혀 처리할 수 없는 쓰레기들이다.

생태계는 분해되지 않는 살충제로 인해 큰 타격을 받는데, 분해가 안된 살충제는 누적되기 때문에 먹이사슬의 위쪽에 있는 고등생물일수록 더 많은 피해를 입는다(생태학).

스모그는 직접적으로 인간의 눈이나 폐를 자극한다. 스모그보다는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에틸납(tetraethyl lead)처럼 자동차 배기가스에서 나오는 오염원도 존재한다. 화석연료가 불에 타면 이산화황과 산화질소들이 생기는데, 이것이 대기권의 수증기와 결합하면 '산성비'가 만들어진다.

이러한 산성비는 해양·삼림·토양의 자원들을 파손시킨다.

이보다 더 간접적인 대기오염의 형태도 있다. 화석 연료가 전세계적으로 사용됨에 따라, 1900년 이후로 대기 중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이 점차적으로 증가해왔다. 어떤 과학자들은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이미 식물의 이산화탄소 처리 능력과 바닷물에 의한 이산화탄소 흡수율을 초과할 정도로 한계점에 도달했거나 곧 도달할 것이라고 믿고 있다.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는 태양의 복사열을 통과시키지만, 반면에 대지가 태양광을 흡수한 후 열로 다시 방출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에 '온실효과'라는 현상을 초래한다. 이 현상이 계속되면 해안범람(극지방의 빙산이 녹고 해수면이 높아져서 해안이 범람하게 됨)이 생길 수 있고, 기후나 식량생산에 큰 변화가 생긴다.

분무기나 냉장고에서 방출되는 프레온 가스의 화학작용 또는 로켓이나 초음속비행기에서 방출되는 오염물질은 오존층을 고갈시키는 주범이다.

오존은 태양으로부터 오는 해로운 자외선을 흡수하기 때문에 오존이 파괴되면 지구상의 생명체가 심각한 타격을 입게 된다. 예를 들면 작물의 성장에 피해를 주고 사람들 중에는 피부암 환자가 증가하게 된다.이러한 문제들이 적절히 해결된다 할지라도 인구문제가 아직 남아 있다. 전세계적인 격변이 일어나지 않는 이상, 인구문제가 아주 심각해지기 전에 인구가 안정될 전망은 없다.

급속한 인구증가가 순조로운 경제 발전을 저해하고 인간 환경을 파괴하며, 사회제도에 심각한 장애를 가하고, 야생 동·식물을 더욱 위협하게 될 것은 거의 의심의 여지가 없다.

이러한 문제들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마땅히 환영할 일이지만 너무 늦은 감이 있다. 하지만 분명히 해야 할 점은 기술을 악용하는 잘못은 인류가 사용하는 도구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인류에게 있다는 것이다. 인간은 지성을 소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간 자신이나 환경에 대한 존경심을 잃은 채 살고 있으며, 이러한 근시안적인 태도는 인류의 자멸을 초래하는 길이 될 것이다.→ 중국기술사, 한국기술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