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출처 다음백과

금송

다른 표기 언어 umbrella pine , 金松
요약 테이블
분류 겉씨식물 > 구과식물강 > 구과목 > 낙우송과 > 금송속
원산지 아시아 (일본,대한민국)
크기 약 15m ~ 40m
학명 Sciadopitys verticillata (Thunb.) Siebold & Zucc.
멸종위기등급 높은위기
꽃말 보호

요약 낙우송과에 속하는 상록침엽수. ‘parasol pine’이라고도 한다. 일본이 원산지이다. 크기는 약 15~40m이다. 길이가 아주 짧고 비늘같이 생긴 잎들이 특징이다. 꽃말은 ‘보호’이다. 높은 위기의 멸종위기등급을 받았다. 주로 관상용으로 활용된다.

목차

  1. 개요
  2. 형태
  3. 생태
  4. 활용
금송

ⓒ WIKIMEDIA COMMONS (MPF) | cc-by-sa

개요

구과식물강 구과목 낙우송과 금송속에 속하는 곁씨식물. 학명은 ‘Sciadopitys verticillate (Thunb.) Siebold & Zucc.’이다. 금송이라는 이름은 잎의 뒷면이 노르스름한 흰색을 띠는 데에서 유래했다. 1970년 박정희 전 대통령이 이순신 종가가 있는 충청도의 현충사에 금송을 심었는데, 일본의 고유종을 이순신의 얼이 담긴 곳에 두어도 되냐는 논란이 계속 있어왔다. 이에 2018년 48년 만에 현충사에 있었던 금송은 근처의 담장으로 이전하게 되었다.

형태

키는 36m까지 자라고 줄기의 둘레는 1.2m나 된다. 짧은 가지들은 줄기둘레를 감싸면서 동그랗게 달린다. 길이가 6㎜도 안 되는 작고 비늘 같은 잎들이 수피에 달린다. 잎의 뒷면은 황백색을 띤다. 이 밖에 잎처럼 보이며 잎의 기능을 하는 변형된 가지가 15~35개 정도 있어 어린 줄기 끝에 우산처럼 돌려 난다. 꽃은 암수가 각각 다른 나무에 나고, 암꽃은 달걀 모양, 수꽃은 원 모양이다. 열매 역시 달걀 모양으로 길이는 8~12cm 정도이다.

생태

꽃은 3월에 피고, 열매도 3월에 맺는다. 일본이 원산지이며, 생장속도가 느리다. 적합한 생장환경은 해발 700~1,200m 사이의 경사진 암석지대이다. 재배할 때는 큰 신경을 쓰지 않아도 나무의 모양이 망가지지 않아 관리가 쉬운 편이며, 병충해에도 강하다. 번식할 때는 씨를 얻어 겨울동안 보관했다가 이듬해 봄에 뿌리면 바로 발아하거나 그해 가을에 싹이 난다.

활용

한국에서는 일본에서 들여온 금송과 몇 가지 변종들을 관상용 식물로 심어 왔으며, 금송의 목재는 배를 만드는 재료로, 수피는 배의 빈 틈을 메우는 데 썼지만 현재는 보호식물이기 때문에 활용을 자제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