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요약 고려시대 중앙의 국립대학격인 국자감에서 교육을 담당했던 관리.
언제 설치되었는지 확실하지 않으나, 989년(성종 8)에 태학조교인 송승연을 국자박사에 제수한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국초부터 있었던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992년 국자감을 설치할 때 교수관으로 국자박사를 두었는데, 문종대 관제를 정비할 때 정7품으로 2명을 두었다.
1076년(문종 30) 제정된 경정전시과에서 제8과에 속하여 전 60결과 시 21결을 지급받았다. 1275년(충렬왕 1) 원의 간섭으로 관제를 개편할 때 국자감이 국학으로 개칭되었다가 1298년(충렬왕 24) 충선왕(忠宣王)이 즉위하여 다시 성균감으로 했는데, 이때 성균박사로 되었다. 1308년 충선왕이 복위하면서 성균감을 성균관으로 고쳤고, 1356년(공민왕 5)에 반원개혁의 일환으로 관제를 복구할 때 국자감으로 했는데 이때 다시 국자박사로 고쳤다. 1362년에 국자감을 다시 성균관으로 고칠 때 성균박사로 개칭했다.→ 국자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