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출처 다음백과

구성주의

다른 표기 언어 constructivism , 構成主義 동의어 구성파

요약 구성주의의 주요수단은 내성법이다. 내성법이란 훈련받은 관찰자가 엄격히 정의된 기술적 어휘를 써서 통제된 대상을 주의깊게 관찰하는 것이다. 티츠너는 경험이 하나의 사실로 평가되어야 한다고 믿었는데, 그 이유는 경험이 그 의미나 가치의 분석과 무관하게 실재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심리학 교본〉에서 티츠너는 의식의 경험을 기술하는 데 필요한 요소들은 단지 감각과 느낌뿐이라고 주장했다.
구성주의와 더불어 심리학은 철학과 독립된 분야로 떠올랐지만, 티츠너가 죽자 구성학파는 상당한 영향력을 잃었다. 그러나 구성주의로 말미암아 유럽의 실험심리학 경향에 강력히 반발하는 여러 반운동, 즉 기능주의·행동주의·형태심리학 등이 발전하게 되었다. 기능주의의 촉매 역할을 했던 구성주의는 미국 심리학에서 항상 소수파였다.

구성주의는 태어나면서부터 현재의 삶에 이르는 경험의 총체로 정의되는 성인정신(adult mind)을 가장 간단히 한정할 수 있는 구성요소로 분석하여, 이러한 구성요소들이 복합적 형태로 모아지는 방식을 찾아내고자 했다.

구성주의의 주요수단은 내성법(內省法)인데, 내성법이란 훈련받은 관찰자가 엄격히 정의된 기술적 어휘를 써서 통제된 대상을 주의깊게 관찰하는 것이다. 티츠너는 경험이 하나의 사실로 평가되어야 한다고 믿었는데 그 이유는 경험이 그 의미나 가치의 분석과 무관하게 실재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티츠너에게 있어서 '정신분석'은 정신이 기능하는 방법이나 이유와는 거의 관계가 없었다. 주요논문 〈심리학 교본 A Textbook of Psychology〉(1909~10)에서 티츠너는 의식의 경험을 기술하는 데 필요한 요소들은 단지 감각과 감정(느낌)뿐이라고 주장했다. 본질적으로 사고 과정은 앞선 경험을 담고 있는 현재의 경험과 느낌들에 대해 감각작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구성주의와 더불어 심리학은 철학과 독립된 분야로 떠올랐지만, 티츠너가 죽자 구성학파는 상당한 영향력을 잃었다. 그러나 구성주의로 말미암아 유럽의 실험심리학 경향에 강력히 반발하는 여러 반운동(反運動) 즉 기능주의·행동주의·형태심리학 등이 발전하게 되었다. 행동과 성격 이론은 구성주의의 문제 범위를 넘어선 것이었다.

경험의 사실과 의미를 분리시키는 구성주의는 프란츠 브렌타노의 행위심리학·형태심리학의 현상학적 전통과 기능주의학파, 윗슨의 행동주의에 반대했다. 기능주의의 촉매 역할을 했던 구성주의는 미국 심리학에서 항상 소수파였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