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출처 다음백과

괭이갈매기

다른 표기 언어 Larus crassirostris
요약 테이블
분류 척추동물 > 조강 > 도요목 > 갈매기과 > 갈매기속
원산지 아시아 (일본,대한민국,중국), 유럽 (러시아)
크기 약 44cm ~ 46cm
무게 약 400g ~ 600g
학명 Larus crassirostris
식성 잡식
임신기간 약 24~25일

요약 갈매기과의 대표적인 텃새.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가 원산지이다. 노란색 부리 끝에 검은색, 붉은색 무늬가 있고, 눈 주위가 붉다. 등·어깨깃·날개 윗면은 푸른빛이 도는 짙은 회색이고 바깥쪽의 첫째 날개깃 선단은 검은색이나, 흰색의 작은 점무늬가 있는 개체도 있다. 물고기를 잡아먹거나 배에서 버리는 찌꺼기 등을 주로 먹는 잡식성이다. 한반도에서 일년 내내 볼 수 있는 흔한 텃새로서 주로 동·서해안과 남해의 무인 도서에서 집단 번식한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목차

  1. 개요
  2. 형태
  3. 생태
  4. 현황
괭이갈매기

ⓒ WIKIMEDIA COMMONS (Shizhao) | cc-by-sa

개요

도요목 갈매기과의 조류. 학명은 ‘Larus crassirostris’이다. 울 때는 '야오, 야오' 하며 고양이 소리를 내어 괭이갈매기라는 이름이 유래했다. 물고기를 사냥하여 먹는 습성 때문에 괭이갈매기가 모여있는 곳에는 물고기떼가 많은 어장인 경우가 많아 옛날부터 어부들의 사랑을 받았다.

형태

몸길이는 46.5cm 정도이다. 양 날개를 폈을 때의 너비는 120cm, 날개의 길이는 34~39cm, 부리 44~56cm, 부척(跗蹠, 정강이뼈와 발가락 사이 부분) 51~61mm, 꼬리 129~155mm이다. 안쪽 첫째 날개깃과 둘째 날개깃 끝은 흰색이고, 꼬리도 흰색이나, 선단 가까이에 검은 띠가 있다. 이들 여러 부분을 뺀 나머지 부분은 흰색이지만, 눈 주위는 붉다. 부리는 짙은 노란색인데, 끝쪽 가까이 검은색과 붉은색 무늬가 있다.

다리는 녹황색이나 노란색이고, 겨울깃에는 머리에 갈색 반점이 있다. 어린새는 온 몸이 진한 갈색이지만 이마, 눈 앞, 멱, 꼬리 기부 등은 연한 색깔이고, 첫째 날개깃은 검은색이다. 부리 끝은 검으며 기부는 살색이다.

생태

일본·한반도·중국 연안에서 번식하며, 겨울에는 다소 남쪽으로 이동하는 무리도 있다. 비번식기에는 해안·해상·하천·호소·저수지 등 도처에서 흔히 눈에 띈다. 배에서 버린 찌꺼기를 먹기 위해 어선의 뒤를 따라다니고, 집단 번식기에는 사람이 접근하면 일제히 날아올랐다가 급강하하며 위협하기도 한다. 바위 위나 초지, 관목이 있는 지상에서 집단 번식하며, 둥지의 간격은 1m 정도이다. 작은 나뭇가지, 풀 줄기, 해조류, 깃털 등으로 둥지를 틀고 둥지 주변에 세력권을 설정하여 엄격한 방어를 한다.

알은 한배에 대개 2개이고, 색깔은 녹갈색, 연한 청갈색 등인데, 어두운 색깔의 무늬와 회색 반점이 있다. 알은 크기가 56~68.5×41.5~50.5mm이고, 암·수 공동으로 24~25일 동안 품는다. 새끼는 약 40일 동안 먹이를 받아먹고 자란 후 둥지를 떠난다.

현황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괭이갈매기 번식지로는 충청남도 태안군 근흥면 가의도리 일원이 제334호로, 경상남도 통영시 한산면 매죽리 홍도 일원이 제335호로,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도동리 독도 일원이 제336호로, 경기도 인천 옹진군 북도면 장봉리 신도 전역이 제360호로, 전라남도 영광군 낙월면 송이리 일원이 제389호로 각각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