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출생 | 미상 |
---|---|
사망 | 475(개로왕 21) |
국적 | 한국, 백제 |
요약 백제의 제 21대 왕이자 비유왕의 맏아들로 이름은 경사. 부왕 사후 왕위에 올랐으며, 재위 동안 고구려의 남침에 대비하고자 북위의 세력을 이용하는 등 외교적인 시도를 했으나 실패로 끝났다. 나제동맹을 강화하여 475년 고구려의 침입에 신라군과 함께 대항하였으나 이 역시 실패로 돌아갔다. 이때 탈출을 시도하다 발각되어 참수당하여 죽었다.
백제의 제21대 왕. 이름은 경사(慶司), 일명 근개루왕이라고도 한다. 20대 비유왕의 맏아들이며, 22대 문주왕(文周王)의 아버지이다.
즉위 뒤 고구려의 남침에 대비하는 조치를 취하여, 469년 고구려의 남부지역을 선제공격하는 한편 요충지인 청목령(현재의 개성 부근으로 추정됨)에 대책을 설치해 방어태세를 보강했다. 472년에는 북위의 세력을 이용하여 고구려의 남침 세력을 분산·약화시키려는 외교적인 시도를 했으나 실패로 끝났다.
또한 나제동맹의 유지·강화에도 힘썼다. 475년 고구려가 쳐들어오자 왕자(뒤의 문주왕)를 보내 구원을 요청, 신라군 12만 명과 함께 고구려 3만의 병력에 대항하여 싸웠으나 불과 7일 만에 방어전선이 무너졌다. 이때 탈출하다가 잡혀 참수되었다.
백제가 쉽게 무너진 것은 내정문제 때문이었다. 개로왕은 구래의 대귀족세력들이 그대로 존속하는 가운데 그들을 배제시킨 왕족 중심의 집권체제를 추구함으로써, 백제 내부의 정치적 결속력을 와해시키고 백제왕실의 영도력 자체도 약화시켰다.
<삼국사기> 개로왕 21년조에서는 고구려 장수왕의 간첩으로 파견된 승려 도림의 계략으로 백제의 패배를 설명하고 있다. 개로왕은 도림을 신임하여 고구려 침공에 대비할 생각을 하지 않은 채 화려한 궁궐을 축조하는 등 대대적인 토목공사를 벌여 국력을 피폐시켰다고 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