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출처 다음백과

가스펠 음악

다른 표기 언어 gospel music 동의어 복음 성가, 福音聖歌, 영가적 음악

요약 교회의 예배의식, 영가(spiritual), 블루스 노래에서 유래한 미국 흑인음악의 한 형태.

1930년대 대공황시대부터 노래집 출판, 연주회 음반, 라디오·텔레비전의 예배방송을 통해 널리 보급되었다.

19세기말 오순절교회의 발전은 가스펠 음악이 나오게 된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오순절교회 예배는 방언(성령을 받은 신자가 황홀한 상태에서 말하는 내용이 불분명한 말)과 아프리카 흑인의 원무(圓舞)와 관련이 있다. 1920년대 오순절교회 목사들의 설교 테이프는 미국 흑인들 사이에서 엄청난 인기가 있었는데 여기에 합창·악기반주와 더불어 청중들의 참여상황도 함께 녹음한 음반들이 계속 나왔으므로 가스펠 음악은 백인들에게도 알려지게 되었다.

흑인 가스펠 전도사와 흑인 음악가들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다.

"숨쉬는 모든 것들아, 야훼를 찬미하여라"(시편 150:6)라는 성서의 구절에 따라 오순절교회는 탬버린·피아노·오르간·밴조·기타·현악기·금관악기 등을 예배에서 사용했다. 목사가 설교하는 동안에 종종 높은 음역의 소프라노 코러스가 배경음으로 깔리기도 한다. 즉흥적인 낭독 악구, 멜리스마(한 음에 여러 개의 음절을 붙여 노래부르는 방식) 노래, 과장된 표현 등이 가스펠 음악의 특징이다.

가스펠 음악에는 거리에서 전도하는 순회 설교사들의 노래와 통기타 연주, 때로는 악대에 맞춰 노래하는 일반 연주자들의 음악, 남성4중창단도 포함된다.

남성4중창단은 화려한 무대의상을 입고 광란하듯 춤을 추며 풍부한 감정으로 반주없이 노래하는 것이 특징이다.

토머스 도시(1899 출생)의 작품 중에서 〈소중한 주님 Precious Lord〉이 가장 유명하다. 틴들리 목사(1851~1933)는 〈나는 승리하리라 I'll Overcome〉라는 노래를 작곡했는데, 이 노래는 미국 민권운동의 운동가인 〈우리 승리하리라 We Shall Overcome〉로 변형되어 널리 불렸다. 디트로이트의 목사 프랭클린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자신의 설교와 성가대의 합창을 담은 음반을 70개가 넘게 발표했다.

장님 목사 게리 데이비스(1896~1972)는 방랑하는 순회 설교자 겸 기타 연주자였다.

수녀 로제타 서프의 기타 연주와 노래는 1930년대에 나이트 클럽과 극장에까지 복음을 끌어들였다. 로버타 마틴은 시카고에 있는 성가대와 가스펠학교에서 활동했으며 마할리아 잭슨(1911~72)은 전세계를 순회공연했고, 텔레비전과 라디오에도 자주 등장했다. '솔 스터러스'(Soul Stirrers:영혼을 흔드는 사람들)라는 중창단은 인기가수 샘 쿠크를 배출했고, 1970년대의 가스펠 가수로는 안드레 크라우치가 유명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