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출처 식품안전지식
통합위해성
평가
통합위해성평가

중금속편

우리 국민의 중금속 체내 노출수준은 얼마나 될까요?

목차

  1. 중금속이란?
  2. 어떻게 노출되나요?
  3. 주요 노출원은?
  4. 식품 중 납의 노출량은?
  5. 중금속의 관리는?
  6. 중금속 섭취를 줄이는 습관!
    1.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하는 올바른 식습관 가지기
    2. 나물은 물에 데쳐 사용
    3. 금연, 금주 실천하기
    4. 실내에서 먼지 없도록 청결 유지

중금속이란?

자연에 존재하는 물질로 산불, 화산활동으로 방출되거나 산업현장에서 제조 ・ 가공에 사용되는 금속입니다.

납(Pb), 카드뮴(Cd), 수은(Hg), 비소(As), 크롬(cr) 등 유해한 중금속이 있는 반면 아연, 철, 구리 등 살아가는데 꼭 필요한 필수영양소도 있습니다.

산업 현장에서 제조 ・ 가공에 사용

ⓒ 식품의약품안전처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어떻게 노출되나요?

화산 가스, 폐기물 소각, 유해폐기물 처리장 등의 근처에서 발견되며, 식품(농 ・ 축 ・ 수산물), 환경(토양, 물, 대기)을 오염시겨 일상생활을 통해 다양한 경로로 사람에게 노출됩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주요 노출원은?

주요 노출원은 식품이며, 인체노출안전기준 대비 위해 우려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식품 중 납의 노출량은?

식약처는 주기적 모니터링을 통해 중금속의 기준 ・ 규격을 재평가 하고 있으며, 현재 식품을 통한 납의 노출량은 10년 전보다 감소하였습니다.

국내 식품을 통한 납 노출평가 결과 비교

ⓒ 식품의약품안전처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중금속의 관리는?

식약처는 농 ・ 축 ・ 수산물, 가공식품, 한약재, 기구 및 용기 포장, 위생용품 등에 기준을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주기적으로 기준적용 품목을 확대하는 등 중금속 관리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납 관리 기준 확대 ・ 강화

ⓒ 식품의약품안전처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중금속 섭취를 줄이는 습관!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하는 올바른 식습관 가지기

ⓒ 식품의약품안전처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나물은 물에 데쳐 사용

ⓒ 식품의약품안전처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금연, 금주 실천하기

ⓒ 식품의약품안전처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실내에서 먼지 없도록 청결 유지

ⓒ 식품의약품안전처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식품안전지식 통합위해성평가
식품안전지식 통합위해성평가 도서 소개

식약처 식품안전나라에서 제공 중인 식품안전지식 정보를 제공 합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