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설립 | 1897-02-19 |
---|---|
국가 | 대한민국 |
그룹사 | 신한금융지주회사 |
기업형태 | 주식회사 |
업종 | 금융업 |
취급품목 | 예금, 대출, 외환, 투자, 신탁, 펀드 및 방카슈랑스 상품 |
사이트 | http://www.shinhan.com |
요약
신한금융지주회사 소속의 시중은행. 1897년 2월 설립된 한성은행을 모태로 하여 1943년 동일은행을 합병하면서 조흥은행이라는 상호로 출범했다. 2001년 신한금융지주가 설립된 후 자회사에 편입되었고, 신한은행과의 합병을 거쳐 신한은행으로 상호를 변경했다. 예금·대출·신탁·외환서비스 등을 주요 업무로 하고 있다. 2016년에는 미래형 점포모델 스마트 브랜치를 오픈하는 등 변화하는 금융환경에 따라 구조를 개편했으며, 2021년에는 미래형 디지털 뱅킹 시스템을 구축했다.
목차
-
기업스토리
- ┗ 역사
- ┗ 연혁
-
주요 사업
-
현황
기업스토리
역사
(주)신한은행의 모태는 1897년 2월 19일 설립된 한성은행이다. 1906년 주식회사 한성은행으로 개편하고 수원지점을 개설했다. 1918년 12월 도쿄 지점을 개설하였으나 관동대지진의 여파로 1972년 휴점했다. 1943년 10월 한성은행과 동일은행을 합병하여 (주)조흥은행으로 상호를 변경했다. 1956년 3월 증권거래소에 상장하였다가 2001년 9월 (주)신한금융지주회사가 출범하면서 상장을 폐지했다. 1960년 6월 금융권 최초로 노동조합을 만들었다. 1982년 6월 신용카드 업무를 시작하였으며, 1990년 7월 명동지점에 우리나라 최초의 현금자동입출금기(ATM)를 설치했다.
1998년 6월 동화은행을 인수하고 1999년 5월과 9월에 충북은행과 강원은행을 합병했다. 그 사이 국내 은행 중 최초로 인터넷뱅킹 서비스를 시행하였으며 총수신 30조 원을 돌파했다. 2001년 5월 신한은행과 호주맥쿼리은행이 합작하여 신한맥쿼리금융자문(주)을 설립했다. 2001년 9월 (주)신한금융지주회사가 출범하여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면서 (주)신한은행은 (주)신한금융지주회사의 자회사로 편입됐다. 2002년 6월 카드사업부문을 인적분할하여 신한카드(주)를 설립했다. 2006년 4월 (주)조흥은행을 합병한 후 존속법인의 상호를 (주)신한은행으로 변경했다.
2006년 홍콩 지점과 인도 뉴델리 지점, 2007년 신한비나은행 동나이 지점(베트남)과 신한크메르은행(캄보디아), 중국 베이징 지점을 각각 개점했다. 2007년 12월 미국 현지은행인 노스애틀랜타 내셔널 은행(NANB North Atlanta National Bank)을 인수하였으며, 2008년 5월 신한뱅크 아메리카 어바인 지점을 개점했다. 2008년 6월 중국 신한은행 유한공사, 같은 해 9월 칭다오 청양지행 지점, 2008년 12월 신한카자흐스탄은행, 2009년 2월 캐나다 신한은행, 같은 해 7월 아메리카 신한은행 댈러스 지점을 차례로 개점했다. 2009년 일본 현지법인인 SBJ은행이 9월과 11월에 도쿄 지점과 우에혼마치 지점을 각각 개점했다.
2015년 3월 20일 필리핀 중앙은행으로부터 지점 설립 인가를 받은 데 이어 2015년 4월 인도네시아 금융당국인 OJK로부터 자카르타 현지은행 지분 인수 승인을 얻어 인도네시아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하였는데, 이는 외국계 은행에 지분 인수를 승인한 최초 사례이다. 2016년에는 미래형 점포모델 스마트 브랜치를 오픈했다. 2017년 12월, 한국 은행 최초로 멕시코 현지법인이 멕시코에서의 은행 영업인가를 획득하면서 현지 한국기업과 교포기업을 중심으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2018년 5월에는 국제신용평가사인 무디스(Moody’s)로부터 기업신용등급 ‘A1’등급을 획득했다. 공신력있는 국제 신용등급으로 인정받고 있는 이 평가를 통해 신한은행은 향후 글로벌 성장 속도를 높이고 국제 금융시장에서의 자본확충 조달 기반을 마련했다. 2019년 6월 베트남에 고자산 특화 영업점인 '신한PWM 푸미흥센터'를 최초로 개점했으며, 10월에는 베트남에 진출한 외국계 은행 최초로 신한베트남은행 '바젤2' 이행 승인을 획득했다. 같은 해 8월 모바일 플랫폼 '쏠'의 고객이 1천만 명을 기록했다.
2020년 들어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 체계 인증을 취득했으며, 데이터기반 자문 및 판매 서비스업을 시작했다. 이와 함께 미래형 마케팅을 추진, 통합 AI센터를 구축하고 디지털영업부를 출범했으며, 은행장 직속 디지털 혁신단을 신설하고 미래형 혁신점포인 디지택트브랜치를 오픈했다. 이어서 2021년에는 미래형 디지털 뱅킹 시스템인 '더 넥스트'를 추진하고 디지털 자산 커스터디 사업에 진출했다.
연혁
• 1988년 6월 : 아세아상선(주) 설립
• 1897년 2월 : 한성은행 창립
• 1918년 12월 : 동경지점 개점 (최초 해외지점)
• 1943년 10월 : 한성은행과 동일은행을 합병하여 조흥은행으로 행명변경
• 1956년 3월 : 증권거래소 상장주식 제 1호로 상장 (코드번호 00010)
• 1988년 11월 : 본점 신축이전 (서울 중구 태평로 2가 120 대경빌딩)
• 1989년 8월 : 조흥리스(주) 설립
• 1992년 11월 : 조흥투자자문(주) 인수
• 2006년 1월 : 금융감독위원회, 신한/조흥은행, 신한카드/조흥카드 합병 예비 인가
• 2007년 1월 : 2007 퍼스트 브랜드 대상 수상 (3년 연속 수상)
• 2008년 1월 : ‘2008 대한민국 퍼스트 브랜드 대상’ 4년 연속 수상
• 2009년 2월 :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업’ All Star 및 은행부문 6년 연속 선정
• 2010년 1월 : 고객을 향한 길, ‘신한 WAY’ 선포
• 2011년 1월 : ‘2011년 대한민국 퍼스트 브랜드 대상’ 수상 (7년 연속 수상)
• 2012년 1월 : 신한미소금융대출 300억 원 돌파
• 2016년 1월 : 퇴직연금 12조 원 돌파
• 2016년 6월 : 신한인도네시아은행 출범
• 2016년 8월 : 미래형 점포모델 '스마트 브랜치' 오픈
• 2017년 12월 : 멕시코 현지법인, 국내 은행 최초 멕시코 내 영업인가 획득
• 2018년 5월 : 신한베트남은행, 4개 지점 동시 개점
• 2019년 6월 : 베트남 최초 고자산 특화 영업점 '신한PWM 푸미흥센터' 개점
• 2020년 1월 : 국내 은행 최초,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 체계 인증 취득 (ISO 27001)
• 2020년 5월 : 데이터기반 자문 및 판매 서비스업 시작
• 2020년 6월 : 자금세탁방지전문가협회 기업서비스 도입
• 2020년 9월 : 통합AI센터, 디지털영업부 출범
• 2021년 1월 : 디지털자산 커스터디 사업 진출
• 2021년 1월 : 마이데이터(본인신용정보관리업) 본허가 취득
주요 사업
신한은행(주)은 예금 수납업무, 여신업무, 대출업무, 투자금융업무, 신탁업무, 펀드 및 방카슈랑스 상품 관련 업무, 외환업무 등을 주요 사업으로 한다. 자회사로 신한아주금융유한공사, 아메리카신한은행, 유럽신한은행, 신한크메르은행, 신한카자흐스탄은행, 신한은행(중국)유한공사, 캐나다신한은행, SBJ은행, 신한베트남은행, 신한인도네시아은행, 멕시코 신한은행에 이르는 해외 현지법인 11개사가 있다.
기업집단 (주)신한금융지주회사에 속한 계열회사로, 지주회사를 포함하여 국내 약 10개사, 국외 약 20개사의 계열회사가 있다. 국내 주요 계열회사로는 신한카드(주), 신한금융투자(주), 신한생명보험(주), 신한BNPP자산운용(주), 신한캐피탈(주), (주)신한저축은행, (주)신한DS, 신한아이타스(주), 신한대체투자운용(주), 신한리츠운용(주), SHC매니지먼트(주) 등이 있다.
현황
본사는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9길 20에 소재하며, 2020년 12월 기준 13,017명의 임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2020년 12월 기준 영업이익은 2조 9,136억 원, 당기순이익은 2조 782억 원이며, 연말 기준 자산총계 427조 6,751억 원, 부채총계 400조 95억 원, 자본총계 27조 6,655억 원, 자본금 7조 9,280억 원을 기록했다. 2020년 12월 기준 지분현황은 신한금융지주회사 100.00%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참고
・ 최종 업데이트 2021.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