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출처 서울시 독성
물질 중독관
리센터...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알려주는

스틱형 세제 안전하게 사용하기

요약 테이블
출처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1855-2221)

목차

  1.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 상담 사례
  2. 제품의 용도에 따른 정보
    1. 과일 채소 세척용
    2. 주방용품 세척, 세탁 용도
  3. 스틱형 세제에 실수로 노출되었을 경우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1. 1. 구강세척
    2. 2. 물이나 유제품을 통한 희석
    3. 3. 구토 유발은 금물

낱개 포장되어 있어 보관과 사용이 용이한 스틱형 파우더 제품. 과일 채소 세척, 식기세척기 세제, 클렌징 파우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는데요.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일부 제품들은 소비자들이 유산균, 혹은 비타민 제제로 착각할 수 있는 포장 디자인을 가지고 있어 주의를 요합니다.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 상담 사례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에도 스틱형 세제 중독사고와 관련하여 상담 문의가 접수되었는데요.

[유산균인 줄 알고 스틱형 과일 채소 세척제를 실수로 복용]
[스틱형 세제를 실수로 복용]
[클렌징 파우더를 유산균 제제로 착각하여 섭취]

제품의 용도에 따른 정보

과일 채소 세척용

직접 섭취하는 식품에 존재하는 잔류농약과 유해성분 제거를 위하여 칼슘파우더 성분을 주로 포함합니다. 장기간 또는 과량을 복용 시 점막 손상 등 유해성이 있을 수 있으나, 소량에서는 인체에 무해합니다.

주방용품 세척, 세탁 용도

강한 염기성 물질(차아염소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등)을 포함하는 경우 심각한 중독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손상부위로는 소화기계 점막 손상이 대표적이나, 피부나 안구의 화상, 호흡기 점막 손상, 두통, 어지러움 등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스틱형 세제에 실수로 노출되었을 경우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1. 구강세척

• 입안에 남아있는 물질을 즉시 뱉고 깨끗한 물로 헹군다.
• 물을 뱉는 게 어려운 영유아의 경우 깨끗한 수건이나 거즈에 물을 묻혀 입을 닦아낸다.

2. 물이나 유제품을 통한 희석

• 물이나 유제품을 마셔 점막자극에 의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 단, 의식이 온전하지 않거나 구토 등이 있을 시 오히려 흡인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3. 구토 유발은 금물

• 구토는 위로 넘어간 독성물질을 다시 역류하도록 하여 자극을 악화시킬 수 있고, 구토물이 폐로 흡인될 수 있어 위험하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발생상황에서 본 급성중독 초기대응 포인트, 일본중독정보센터]
  • ・ [안전기준 적합 확인, 신고 매뉴얼, 제거제편, 한국환경산업기술원(2022.11)]
  • ・ [유독물질 성상과 독성 및 관리 정보 요약서, 화학물질정보시스템]

출처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알려주는 생활 속 중독질환 예방법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가 알려주는 생활 속 중독질환 예방법 도서 소개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에서 위탁운영하고 있는 서울시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의 예방뉴스를 기반으로 제작된 정보입니다. 생활환경 속 유해물질에 대한 정보와 예방법을 전달합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