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출처 의약품 사전

테리핀주

다른 표기 언어 Terepin Inj.
요약 테이블
식약처 분류 뇌하수체호르몬제 (241)
전문/일반 전문 의약품
제조/수입사 한림제약
급여정보 보험코드 645301861_32954원/1키트, 급여(2017-02-01)
임산부 금기 2등급 , 명확한 임상적 근거 또는 사유가 있는 경우 부득이하게 사용
제형 주사제
단일/복합 단일 성분
투여 경로 주사
보관방법 밀봉용기, 실온보관(1-30℃)

요약 정맥주사를 하여 식도정맥류의 출혈을 지혈하는 약

목차

  1. 형태
  2. 성분
  3. 성분 별 약효
  4. 의약품 안전성 정보
    1. 임산부 금기
  5. 효능
  6. 용법
  7. 주의사항
  8. 복약지도

형태

백색의 동결건조분말을 함유하는 무색투명한 유리바이알과 무색투명한 용제를 함유하는 무색투명한 앰플

성분

Terlipressin Acetate 테를리프레신아세트산염 1mg

성분 별 약효

Terlipressin Acetate : 호르몬 & 대사관련 질환 > 호르몬제제 > 뇌하수체 후엽 호르몬제 > Vasopressin제제

의약품 안전성 정보

임산부 금기

Terlipressin : 2등급 , 명확한 임상적 근거 또는 사유가 있는 경우 부득이하게 사용

효능

식도정맥류 출혈, 제1형 간신증후군

용법

식도정맥류 출혈: 보통 성인의 경우 초기량으로 초산테를리프레신 1~2mg을 혈압 및 심박수를 관찰하면서 정맥주사하며, 유지량으로 이 약 1mg을 4~6시간마다 투여한다. 투여기간은 병의 경과에 따라 2일 또는 3일로 제한한다. 1일 최대투여량은 체중 kg당 20㎍씩 6회이며, 혈압 및 심박수를 충분히 관찰한다.

제1형 간신증후군: 1일 3~4mg을 3~4회로 나누어 투여한다. 투여시작 3일후에도 혈청 크레아티닌의 감소가 나타나지 않으면 투여를 중단할 것이 권고된다. 혈청 크레아티닌 130 μmol/L 이하, 또는 혈청 크레아티닌 치가 간신증후군으로 진단할 당시보다 적어도 30% 떨어질 때까지 사용하는 것이 이 처치법의 목표이다. 통상 10일간 치료한다.

주의사항

1. 경고
앰플 주사제는 용기 절단 시 유리파편이 혼입되어,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사용시 유리파편혼입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신중하게 절단사용하되, 특히 어린이, 노약자 사용시에는 각별히 주의할 것.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패혈성 쇽 환자
2)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
3)관상동맥부전 및 심근경색의 가능성이 있는 환자
4)중증 동맥 고혈압 환자
5)테를리프레신 또는 이 약의 성분에 과민반응이 있는 환자
3.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뇌혈관 및 말초혈관부전 환자
2)기관지천식 및 호흡부전 환자
3)70세 이상 노인 환자
4)신부전 환자
5)진행성 동맥경화증 환자
6)간질양 경련 환자
7)심박동장애 및 심부전 환자
8)관절경화증 환자
4. 이상반응
1)정신신경계 : 때때로 두통
2)소화기계 : 때때로 일시적인 복부경련 및 설사가 나타날 수 있으며 드물게 일시적인 오심 및 구역이 발생할 수 있다. 장운동항진, 조절이 불가능한 변의 또는 복통이 나타날 수 있다.
3)순환기계 : 과량투여시 또는 폐동맥내로 주사시, 심박수 30%감소가 나타날 수 있다. 드물게 심방 세동, 심실 주기외 수축, 빈맥, 가슴통증, 심근경색, 폐부종을 동반한 체액 과부하가 나타날 수 있다. 심실 빈맥(Torsades de Pointes) 및 심부전이 나타날 수 있다.
4)혈관계 : 때때로 말초 혈관수축, 말초 허혈 및 안면 창백이 나타날 수 있다. 때때로 혈압 상승이 나타날 수 있으며, 특히 고혈압 환자에서 그 정도가 심하다. 드물게 내장 허혈, 말단 청색증, 홍조가 나타날 수 있다.
5)호흡기계 : 때때로 기관지 수축, 호흡 곤란, 호흡 부전
6)대사계 : 액체평형을 조절하지 않으면 항이뇨작용 때문에 저나트륨혈증이 유발될 수도 있다.
7)피부 : 피부 괴사
8)생식기 : 자궁내막의 현저한 혈액공급저하 및 자궁근육의 수축이 나타날 수 있다.
9)투여부위 : 드물게 주사부위 괴사
10)기타 두드러기, 심근허혈, 어지러움이 보고된 바 있다.
11)시판후조사결과 과거 식도정맥류출혈 병력 및 합병증(신장애, 간장애, 위장관계, 대사계, 순환기계, 호흡기계 등)이 있는 환자가 없는 환자보다 이상반응 발현증례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5. 일반적 주의
심장 및 순환기능에 대한 지속적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의료설비가 갖추어져 있는 곳에서만 투여한다. 이 약으로 치료 중에는 지속적으로 혈압, 혈청중 나트륨 및 칼륨, 액체평형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고혈압 및 심장질환이 있는 환자에게는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6. 상호작용
문맥에 대한 베타차단제의 비선택적인 혈압강하작용이 이 약에 의해 증강될 수 있다. 약물투여에 의해 유발된 심박과 심박출량의 감소는 혈압 증가 때문에 미주신경을 통해 심장 활동의 반사발생이 저해되어 나타난다. 서맥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약물들 (예 프로포폴, 수펜타닐)과 함께 투여하면 심각한 서맥을 유발할 수 있다.
7. 임부에 대한 투여
1)자궁평활근 수축으로 임신 4개월 전에는 낙태를 유발할 수 있으며, 자궁의 혈액공급장애로 태아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토끼에게 글라이프레신 투여 후 자연유산과 태아기형이 나타났다.
2)임부의 치명적 식도정맥류 출혈시에는 이 약 사용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될 경우에만 투여한다. 모체의 유즙으로의 이행에 대한 정보는 충분하지 않지만, 환자의 임상적 상황을 고려해 볼 때 수유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
8. 과량투여시의 처치
1)증상 : 과용량은 순환기계에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날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권장용량 (2 mg/ 4 hour)을 초과하여 사용해서는 안된다. 복부통증, 혈압상승, 서맥 및 부작용이 심해질 수 있다.
2)처치 : 클로니딘, 니페디핀 또는 다른 α -차단제를 투여한다. 서맥이 나타나는 경우 아트로핀을 투여할 수 있다.
9. 적용상의 주의
이 약은 반드시 첨부된 용제로 용해하여 사용한다. 국소괴사를 피하기 위해 꼭 정맥 주사하여야 한다. 사용 경험이 적기 때문에 어린이나 나이든 환자에 사용 시는 특별히 주의하여야 한다.
10. 저장상의 주의사항
1)이 약은 혼합 후 반드시 8℃ 이하에서 보관하며, 12시간 이내에 사용한다.
2)소아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한다.

복약지도

- 반드시 경험있는 의사의 지시 및 감독 하에 투여하세요.
- 발진, 발적, 가려움증 등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전문가와 상의하세요.
- 고혈압 환자나 그 병력이 있는 경우 전문가에게 미리 알리세요.
- 임산부 및 임신 계획이 있는 여성은 투여전 반드시 전문가와 상의하세요.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의약품 사전
의약품 사전 도서 소개

약학정보원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