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백과사전
검색
검색어 입력폼
검색
백과사전 메인메뉴
카테고리
라이프
생활/여가
건강/의학
음식/요리
스포츠
여행
사회
사회일반
사회제도
정치
경제
법/법률
언론
지형/지리
기관/단체
국제/외교
국내지역
해외지역
인문
인문 일반
역사
철학/심리
종교
언어
문학
과학
과학 일반
자연과학
공학/기술
동물
식물
문화
문화 일반
대중문화
문화유산
음악
미술
무용
건축
추천백과
e약은요
텃밭가꾸기
대한민국 구석구석
경제금융용어 700선
식품 안전이슈 20가지
지식재산권 용어 사전
뒤죽박죽 경제상식
생활법률 해법사전
한국독립운동 인명사전
세계문학전집
우리말 1000가지
과학향기
세계문학사전 100
국가건강정보포털
스포츠백과
이야기세계사1
임신출산 육아백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주제별 메뉴
핫이슈
라이프
사회
인문
과학
문화
학습
목록
BEST 01
뷰티풀 마인드
브라이언 그레이저, 론 하워드가 공동제작한 2001년 아카데미상 작품상 수상 작품. 게임 이론으로 199..
출처
다음백과
BEST 02
삼재
수재·화재·풍재 등 사람에게 닥치는 3가지 재해를 뜻하는 민간용어. 삼재액·삼재운 도병재(刀兵災)·질역재..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BEST 03
타투
피부에 상처를 내고 색소를 들여 글씨나 무늬를 새기는 일을 말한다.
출처
인적자원관리용어사전
BEST 04
소서
하지와 대서 사이에 있는 24절기의 하나. 양력 7월 7일 무렵이다. 소서는 작은 더위라는 뜻으로 태양의 황경이 105°인 때이다. 한국은 장마전선이 걸쳐 있어 습도가 높고, 비가 많이 온다. 농사에 쓸 퇴비를 ..
출처
다음백과
조문하는 방법
장례식에 가서 조문할 때의 예의와 방법. 조문 시기는 가까운 친지의 경우 가능한 빨리 가는 것이 예의이고..
출처
다음백과
삼우제
장사를 지낸 뒤 죽은 이의 혼백을 평안하게 하기 위하여 지내는 제사를 말한다. 장사 당일날 지내는 제사는..
출처
우리말 1000가지
초복
음력 6월~7월에 있는 세 절기인 삼복의 하나. 복날, 즉 삼복은 초복·중복·말복을 말한다. 삼복은 소서..
출처
다음백과
복날
음력 6월에서 7월 사이의 초복·중복·말복, 삼복 첫 번째 복날을 초복(初伏)이라 하고, 두 번째 복날을..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서시
윤동주(尹東柱)가 지은 시. 윤동주(尹東柱)가 지은 시. 1941년 11월 20일에 창작되었고 그의 유고..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청포도
내 고장 칠월은 청포도가 익어가는 시절 이 마을 전설이 주저리주저리 열리고 먼데 하늘이 꿈꾸며 알알이 들..
출처
다음백과
롯데월드타워
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에 건축된 초고층 복합 건물. 원래 '제2롯데월드'라는 이름으로 추진되었으나 201..
출처
다음백과
화양연화
왕자웨이의 멜로 영화? 언뜻 어울리지 않는 것 같지만 가만 생각해 보니 그의 영화들은 항상 멜로드라마가 ..
출처
영화는 쉬지 않는다
아이맥스
일반적인 영화 화면보다 10배 큰 스크린을 갖는 카메라와 영사 시스템을 말하는 명칭. 1970년에 처음 ..
출처
영화사전
지방 쓰는 법
지방은 제사를 모시는 대상을 상징하는 것으로, 사당에서 쓰는 신주 대신 임시로 만드는 위패를 말한다. 깨..
출처
다음백과
용암사
충청북도 옥천군 옥천읍 장령산(長靈山)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의신이 창건한 사찰. 대한불교조계종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매너리즘
매너리즘(mannerism)은 이탈리아어 마니에리즈모(manierismo)의 영어 번역으로, 마니에라(maniera), 즉 ‘방식을 따르는 주의’이다. 이는 1520년경부터 1600년경까지 이탈리아와 스페인에서 ..
출처
역사용어사전
마라도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마라리에 속하는 섬. 우리나라 최남단의 섬으로 대정읍 모슬포항에서 남쪽으로..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DX
4DX는 CJ그룹의 CJ 4DPLEX가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4D영화 상영시스템이다. 영화 장면에 따라 ..
출처
에듀윌 시사상식
사십구재
불교에서 사람이 죽은 날로부터 매 7일째마다 7회에 걸쳐서 49일 동안개최하는 종교의례. 불교의식. 죽은..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서시(윤동주)
[이 작품은] 적절한 상징과 시각적 심상을 활용하여 일제 강점기를 살아가는 지식인의 도덕적 순결성에 대한..
출처
해법문학 현대시 고등
더보기
TOP으로 이동
공지사항
[오픈] 백과 모바일웹이 새로워졌습니다
서비스 이용정보
서비스 약관/정책
|
권리침해신고
|
사전 고객센터
|
사전 문의하기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