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별 메뉴

목록

  1. BEST 01 차례상 차리는 방법 차례를 지낼 때 조상에게 올리는 차례상을 차리는 방식. 각 지역과 가정에 따라 차례상을 차리는 방법은 모.. 차례상 차리는 방법 출처 다음백과
  2. BEST 02 지방 쓰는 법 지방은 제사를 모시는 대상을 상징하는 것으로, 사당에서 쓰는 신주 대신 임시로 만드는 위패를 말한다. 깨.. 부모 지방 예시 출처 다음백과
  3. BEST 03 제사상에 놓인 음식에 정해진 자리가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어느 문화이든지 그들이 생각하는 우주의 모습은 모든 문화 속에 배어 있습니다. 절에 가서 법당에 그려놓은.. 출처 정말 궁금한 우리 예절
  4. BEST 04 마야 문명 마야 문명은 중남미의 마야 족을 비롯한 인디언들이 이룩한 문명으로 잉카 문명과 함께 특히 뛰어난 문명이다.. 마야 문명의 유적 출처 학습그림백과
  5. 제례 제례는 신과 죽은 사람의 넋에게 음식을 바치며 위안과 감사를 표현하는 의식으로, 제사라고도 한다. 원시 .. 명절에 지내는 제사. 보통 종손의 집에 있는 사당에서 지낸다. 출처 학습그림백과
  6. 키르기스스탄의 역사 키르기스인의 기원은 불확실하다. 민족지학자들은 키르기스인의 조상이 12세기에 몽골족이 세운 서요의 진출과.. 키르기스스탄 부라나 탑 출처 다음백과
  7. 경보 두발 중 한 쪽의 발이 항상 지면에서 떨어지지 않게 하며 빨리 걷는 것을 겨루는 육상 경기. 발걸음을 옮.. 경보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8. 송편 세계적으로 추석에 먹는 떡은 거의 다 보름달 모양인데, 송편은 전통적인 추석 음식인데도 보름달을 닮지 않.. 송편 출처 음식으로 읽는 한국 생활사
  9. 만세력 조선후기 관상감에서 왕명으로 1782년에 간행한 역법서. 2권 2책. 목판본. 1777년부터 100년간의.. 만세력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0. 성묘 봄·가을에 묘를 살펴서 손질하는 민간의례. 전묘(展墓)·배분(拜墳)·배소례(拜掃禮) 또는 상묘의(上墓儀).. 성묘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1. 토란국 토란은 한자로 흙 토(土), 알 란(卵) 자를 써서 토란(土卵)이다. 풀이하자면 땅에서 나오는 알이라는 .. 토란국 출처 음식으로 읽는 한국 생활사
  12. 삼재 수재·화재·풍재 등 사람에게 닥치는 3가지 재해를 뜻하는 민간용어. 삼재액·삼재운. 도병재(刀兵災) · 질역재(疾疫災) · 기근재(飢饉災)와 세계를 파계(破戒)하는 수재(水災) · 화재(火災) · 풍재(風災)가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3. 조문하는 방법 장례식에 가서 조문할 때의 예의와 방법. 조문 시기는 가까운 친지의 경우 가능한 빨리 가는 것이 예의이고.. 조문하는 방법 출처 다음백과
  14. 마이어스-브릭스 유형 지표 성격의 유형을 스스로 진단하여 16가지 유형의 하나로 분류할 수 있도록 한 성격유형검사의 하나. 1944.. mbti 유형 출처 다음백과
  15. 미카엘 성서와 〈코란〉에 나오는 대천사. (히). Mikha⁾el. (아). Mīkhā⁾īl. 위대한 대장, 하.. 대천사 미카엘(Archangel Michael) 출처 다음백과
  16. 인동 장씨 지금까지 확인된 조선시대 잡과(雜科) 합격자는 모두 6,122명인데, 역과가 2,976명, 의과가 1,548명, 음양과가 865명, 율과가 733명 순이다. 산학(算學)은 정조 즉위년(1756년)부터 주학(籌學).. 출처 조선의 중인들
  17. 잉카 문명 오래전부터 안데스의 고원 지대에는 사람이 살았어요. 잉카 제국이 처음 만들어진 것은 12세기. 쿠스코 분.. 출처 처음 만나는 세계 문명
  18. 버킷리스트 죽기 전에 하고 싶은 일들을 적은 목록 평생 한 번쯤 해보고 싶은 일, 혹은 죽기 전에 해야 할 일들을 .. 버킷리스트 출처 다음백과
  19. 기제사 음식차림은 채소·실과·술·반찬으로 한다. 어동육서·좌포우혜·홍동백서·두동미서·조율이시 등이 원칙이나 지역.. 기제사 출처 다음백과
  20. 처사와 거사, 선생 처사(處士) - 중국에서 생겨난 호칭으로, 도덕과 학문이 뛰어나면서도 벼슬을 하지 않는 사람에게 황제나 왕이 내리는 시호였다. 거사(居士) - 사당패에서 각 종목의 으뜸가는 사람을 말한다. 출가하지 않고 불교를 .. 출처 우리 한자어 1000가지
더보기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