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별 메뉴

목록

  1. BEST 01 강감찬의 귀주 대첩 거란군이 귀주를 통과할 때 강감찬 등이 동쪽 교외에서 이들을 맞아 싸웠는데 승부를 보지 못한 채 두 부대.. 낙성대의 유허비(서울 관악) 출처 고등교과서 한국사
  2. BEST 02 12·12군사반란 1979년 12월 12일 전두환과 노태우 등을 중심으로 한 신군부 세력이 정승화 육군 참모 총장 등을 불.. 12. 12사태 출처 다음백과
  3. BEST 03 서울의봄 1979년 10월 26일부터 1980년 5월 17일 사이 벌어진 민주화 운동 시기. 박정희 대통령이 사망한 10 · 26사건 직후 보안사령관이던 전두환 소장은 합동수사본부장을 맡아 군부를 장악하고 정치적 실세로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BEST 04 삼재 수재·화재·풍재 등 사람에게 닥치는 3가지 재해를 뜻하는 민간용어. 삼재액·삼재운. 도병재(刀兵災) · 질역재(疾疫災) · 기근재(飢饉災)와 세계를 파계(破戒)하는 수재(水災) · 화재(火災) · 풍재(風災)가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5. 가스라이팅 상황을 조작해 상대방이 스스로를 의심하게 만들어 판단력을 잃게 하는 정서적 학대 행위. '심리 지배'라고.. 등불 출처 다음백과
  6. 거란의 침입 고려는 송과 우호관계를 유지했지만 발해를 멸망시킨 거란을 적대시했다. 942년 거란은 고려에 사신을 보내.. 거란 출처 다음백과
  7. 귀주대첩 1019년 2월, 세 번째로 고려를 침공한 거란이 고려군의 거센 저항으로 고려 정벌을 포기하고 본국으로 .. 거란의 3차 침입로 출처 한국사를 움직인 100대 사건
  8. 코스프레 만화나 애니메이션, 컴퓨터 게임, 영화 등에 등장하는 주인공의 모습으로 옷을 입고 분장을 하는 놀이 또는.. 《스타워즈》 등장인물인 파드메 아미달라를 코스프레한 플레이어 출처 다음백과
  9. 대림절 예수 그리스도 탄생일 전 4주 동안의 기독교 절기. 3~4세기 갈리아와 스페인 지역에서 시작하여 6세기에.. 대림절(Advent) 출처 다음백과
  10. 강조 고려전기 중대사, 이부상서참지정사, 행영도통사 등을 역임한 권신. 황해도 지방의 토성(土姓)으로 본관은 분명하지 않다. 목종(穆宗) 때 중추사우상시(中樞使右常侍)로서 서북면도순검사(西北面都巡檢使)가 되었다. 10..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1. 10·26사태 1979년 10월 26일 밤 7시 40분 경 서울 종로구 궁정동중앙정보부 안가(安家)에서 중앙정보부 부장.. 10.26사태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2. 거란의 고려침입 제1차 침입 후 계속해서 고려를 침입할 구실을 찾던 거란은 강조가 목종을 죽이고 현종을 세우자 이것을 빌.. 거란 3차 침입 출처 이야기 고려왕조사
  13. 고려왕 계보 제1대 태조(918-943)부터 제34대 공양왕(1389-1392)까지 고려왕의 계보 ※ 왕의 이름을 클.. 고려왕 가계도 출처 이야기 고려왕조사
  14. 보어인 1707년 케이프 식민지에 살던 백인은 네덜란드와 독일계였고 프랑스 위그노계도 약간 있었다. 현재 보어인.. 보어인 출처 다음백과
  15. 살수대첩 612년, 을지문덕 장군이 이끄는 고구려군이 살수에서 수나라 대군을 크게 무찌른다. 30만 5,000명의.. 수 양제 출처 한국사를 움직인 100대 사건
  16. 현종 가계도 [출생] 992년 [사망] 1031년 [재위] 1009년 ~ 1031년 현종 가계도 출처 이야기 고려왕조사
  17. 강감찬 우리 역사에서 '3대 대첩(大捷)'을 꼽는다면, 두말 할 것도 없이 을지문덕의 살수대첩과 이순신의 한산대첩(閑山大捷), 그리고 강감찬(姜邯贊)의 귀주대첩(龜州大捷)을 든다. 그중 고려 시대 거란의 수십만 대군을 .. 출처 명장열전
  18. 나치 독일 노동자당이 개칭한 것으로 독일이 대공황으로 인한 혼란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등장함. 전체주의를 표방하였으며 1932년에 제1당이 됨.  나치는 1920년 독일 노동자당이 개칭한 이름으로 기존 정당과 노조에 불.. 출처 학습용어사전 세계사
  19. 거란 퉁구스와 몽골의 혼혈족으로 알려진 동호계(東胡系)의 한 종족명. ‘奚丹(해단)’으로 표기되기도 한다. 5세기 중엽부터 요하 상류(遼河上流)인 시라무렌(西刺木倫, Siramuren) 남쪽에서 유목생활을 하고 있던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 삼우제 장사를 지낸 후 세 번째 지내는 제사. 망자의 혼백을 평안하게 하기 위하여 지내는 제사를 말하며, 우제라.. 고 이한열군 삼우제 출처 다음백과
더보기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