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별 메뉴

목록

  1. BEST 01 12·12군사반란 1979년 12월 12일 전두환과 노태우 등을 중심으로 한 신군부 세력이 정승화 육군 참모 총장 등을 불.. 12. 12사태 출처 다음백과
  2. BEST 02 서울의봄 1979년 10월 26일부터 1980년 5월 17일 사이 벌어진 민주화 운동 시기. 박정희 대통령이 사망한 10 · 26사건 직후 보안사령관이던 전두환 소장은 합동수사본부장을 맡아 군부를 장악하고 정치적 실세로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BEST 03 삼재 수재·화재·풍재 등 사람에게 닥치는 3가지 재해를 뜻하는 민간용어. 삼재액·삼재운. 도병재(刀兵災) · 질역재(疾疫災) · 기근재(飢饉災)와 세계를 파계(破戒)하는 수재(水災) · 화재(火災) · 풍재(風災)가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BEST 04 흥화진전투 고려 전기 거란침입 때 흥화진(興化鎭, 평안북도 의주)에서 벌어진 전투. 흥화진은 서희(徐熙)가 거란과 담판하여 강동6주(江東六州)를 확보한 이후, 995년(성종 14) 구축한 압록강 방면의 요충지이다. 거란은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5. 강감찬의 귀주 대첩 거란군이 귀주를 통과할 때 강감찬 등이 동쪽 교외에서 이들을 맞아 싸웠는데 승부를 보지 못한 채 두 부대.. 낙성대의 유허비(서울 관악) 출처 고등교과서 한국사
  6. 대림절 예수 그리스도 탄생일 전 4주 동안의 기독교 절기. 3~4세기 갈리아와 스페인 지역에서 시작하여 6세기에.. 대림절(Advent) 출처 다음백과
  7. 대가야 가야연맹체(加耶聯盟體)의 한 나라로서 후기 가야연맹체의 맹주국. 지금의 경상북도 고령군 일대에 있었던 것.. 고령 지산동 고분군 전경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8. 무위 중국 도가에서, 남에게 양보하는 것이 인간 존재의 문제에 대한 가장 효과적인 답변이라는 학설. (병). Wuwei. (웨). Wuwei. '무위'는 완전한 수동성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그것은 다른 사람들로.. 출처 다음백과
  9. 안성칠장사대웅전목조석가삼존불좌상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칠장사 대웅전에 있는 조선후기에 조성된 목조 불상. 시도유형문화재. 칠장사 대웅전에.. 안성 칠장사 대웅전 목조석가삼존불좌상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0. 10·26사태 1979년 10월 26일 밤 7시 40분 경 서울 종로구 궁정동중앙정보부 안가(安家)에서 중앙정보부 부장.. 10.26사태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1. 고려왕 계보 제1대 태조(918-943)부터 제34대 공양왕(1389-1392)까지 고려왕의 계보 ※ 왕의 이름을 클.. 고려왕 가계도 출처 이야기 고려왕조사
  12. 등신불 김동리(金東里)가 지은 단편소설. 1961년 11월 『사상계(思想界)』 101호에 발표되었고, 1963년.. 등신불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3. 계양군 조선전기 제4대 세종의 서자인 왕자. 이름은 이증(李璔). 자는 현지(顯之). 아버지는 세종이고, 어머니는 신빈김씨(愼嬪金氏)이며, 부인은 좌의정 한확(韓確)의 딸이다. 1434년(세종 16) 계양군에 봉하여졌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4. 츤데레 상대방에게 애정이 있지만, 겉으로는 쌀쌀맞게 행동하는 성격 유형을 이르는 말 츤데레(ツンデレ)란 특정한 .. 전형적인 츤데레 캐릭터를 묘사한 그림 출처 다음백과
  15. 49재 사람이 죽은 지 49일째에 좋은 곳에 태어나길 기원하며 거행하는 불공 의식. 죽은 날을 1일로 하여 7일 마다 7번 불공 의식을 지내는 것을 의미한다. 대승불교의 전승에서 이 기간 동안 죽은 자는 생전의 공덕을 .. 출처 다음백과
  16. 성종의 가계도 [출생] 1457년 [사망] 1494년 [재위] 1469년 11월 ~ 1494년 12월 성종의 가계도 출처 조선의 숨겨진 왕가 이야기
  17. 졸혼 부부가 이혼하지 않으면서도 각자 자신의 삶을 즐기며 자유롭게 사는 생활방식. '결혼을 졸업한다'는 의미를.. 출처 다음백과
  18. 조문하는 방법 장례식에 가서 조문할 때의 예의와 방법. 조문 시기는 가까운 친지의 경우 가능한 빨리 가는 것이 예의이고.. 조문하는 방법 출처 다음백과
  19. 세조의 가계도 [출생] 1417년 [사망] 1468년 [재위] 1455년 윤06월 ~ 1468년 09월 세조의 가계도 출처 조선의 숨겨진 왕가 이야기
  20. 세종의 가계도 [출생] 1397년 [사망] 1450년 [재위] 1418년 08월 ~ 1450년 02월 세종의 가계도 출처 조선의 숨겨진 왕가 이야기
더보기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