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삼례분휘 삼례휘찬(三禮彙纂), 三禮分彙人事部) 6조목, 생사부(生死部) 13조목, 제사부(祭祀部) 6조목, 연악부(燕樂部) 6조목, 거처부(居處部) 5조목, 재화부(財貨部) 9조목, 백용부(百用部) 10조목, 복식부(服飾部) 10조목, 기예부(技藝部) 6조목, 군려부(軍旅部) 8조목, 생물부(生物部) 8조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형식은 천도부의 경우, 상단에 천도부...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사회/가족
-
독학전보 讀學塡補讀大學法)」 중에서 주희가 ‘숙독대학작간가각이타서전보거(熟讀大學作間架却以他書塡補去)’라 한 말에 유념하여 약 40년간 여러 경서를 읽는 중에 3강령 8조목과 상통하는 긴요한 말들을 가려 뽑아 이 책을 엮게 되었다고 서문에서 밝히고 있다. 서지적 사항 35권 18책. 필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권수의...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채지홍
- 성격 :
- 유교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35권 18책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
불우헌집 不憂軒集빨리 뿌리뽑아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다음으로 「치사후진폐소(致仕後陳弊疏)」는 늙어서 벼슬을 사양하고 물러난 뒤에 시폐(時弊) 개혁을 8조목에 걸쳐 주장한 것이다. 1조목은 학교는 인재를 양성하는 곳이니 생원 · 진사 중에서 40세가 넘고 경학에 밝은 자를 선발하여 훈도(訓導)의 책임을 맡겨야 한다는 것이다...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
중용구경연의 구경연의(九經衍義), 中庸九經衍義민(子庶民)·내백공(來百工)·유원인(柔遠人)·회제후(懷諸侯)의 9조목으로, 『대학』의 8조목과 표리의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경전주석사에서 『대학』 8조목의 해설은 진덕수(眞德秀)가 『대학연의(大學衍義)』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치국평천하의 조목을 해설하지 않았는데, 이것을 구준(丘濬)이 『대학연의...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이언적
- 창작/발표시기 :
- 1583년(선조 16)
- 성격 :
- 주석서, 유학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9권 10책
- 간행/발행 :
- 유성룡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
훈민가 訓民歌兄友弟恭), 3조목은 자효(子孝), 4조목은 부부유은(夫婦有恩), 5조목은 남녀유별(男女有別)이다. 이어서 6조목은 자제유학(子弟有學)이며 7조목은 향려유례(鄕閭有禮), 8조목은 빈궁환난친척상구(貧窮患難親戚相救), 9조목은 혼인사상인리상구(婚姻死喪隣里相救)이다. 10조목은 무타농상(無惰農桑), 11조목은 무작도적...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정철
- 창작/발표시기 :
- 조선 선조
- 성격 :
- 연시조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
어제정훈 御製政訓은 모든 행정을 실제로 익히는데 엄하게 하면서 열심히 익혀야 한다. 제10조 계분화(戒紛華)는 정치를 배움에 있어 분잡하고 화려함을 경계해야 한다. 제1조목에서 제8조목은 ≪중용≫에서 취한 것으로 그 근본은 모두 성(誠)·경(敬)·근(勤)으로 되어 있다. 끝의 발문은 ≪국조보감 國朝寶鑑≫을 본보기로 하고 정일...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영조(英祖)
- 창작/발표시기 :
- 1749년(영조 25)
- 성격 :
- 어제(御製), 교훈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소장/전승 :
- 장서각 도서
-
사성찰 私省察교회 학자들의 말이 인용되어 있는데, 이들의 말은 다른 내용과 구분되도록 크고 굵게 필사되어 있다. 이 책의 내용은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1~8조목으로 구성되어 있는 첫째 부분에는 신학교의 입학 동기와 목적, 신학교에서 지켜야 할 규칙 등이 중요하게 다루어져 있고, 9~14조목으로 구성되어 있는 둘째...
- 저작자 :
- 리우빌(L. N. A. Liouville) 또는 마라발(J. B. Maraval)
- 창작/발표시기 :
- 1889년
- 성격 :
- 교리서, 천주교교리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권/2책
- 간행/발행 :
- 필사본
- 분야 :
- 종교·철학/천주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사변록 思辨錄斯文亂賊)’이라는 낙인이 찍히기도 하였다. 내용 그 주요 내용을 간추려보면 다음과 같다. (1) 『대학』의 주석 첫째로, 『대학』은 3강령 8조목이 아니고 2강령 8조목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주자는 명덕을 밝히는 것(明明德), 백성을 새롭게 하는 것(新民), 지극한 선에 그치는 것(止於至善)을 3강령이라고 보았다. 이...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달도대전강령 達道大全綱領구성되어 있는 부도(婦道)를, 7조목은 수성(修省)·친현(親賢遠小)·종간(從諫)·간민(干民) 그리고 통론군도(通論君道)로 구성되어 있는 군도(君道)를, 8조목은 사군(事君)·간쟁(諫諍)·진충(盡忠)·출처(出處)로 구성되어 있는 신도(臣道)를, 9조목은 택우(擇友)·보인(輔仁)·통론교유(通論交游)로 구성되어 있는...
- 시대 :
- 근대/개항기
- 저작자 :
- 황필수편찬, 황지수집주, 김기연교정
- 창작/발표시기 :
- 1873∼1874년
- 성격 :
- 유학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3권 3책, 3권 2책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서울대학교 규장각